제습기 효율 최대 32% 차이

제습기 효율 최대 32% 차이

입력 2014-08-01 00:00
업데이트 2014-08-01 00: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비자원, 11개 제품 비교 조사

최근 습한 여름철을 맞아 제습기 판매량이 늘고 있지만 제품별로 제습 기능에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9개 업체의 11개 제습기를 대상으로 가격·품질 비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제품별 제습효율이 최대 32%나 차이가 났다고 31일 밝혔다. 제습효율이란 하루 동안 제습하는 물의 양(ℓ)을 소비 전력()으로 나눈 값으로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ℓ당 제습효율은 위니아만도(WDH-164CGWT) 제품이 2.36로 가장 높았고, 코웨이(AD-1514B)가 1.79로 가장 낮았다. 하지만 제품별로 제습효율에 큰 차이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은 같은 등급으로 분류돼 있어 기준을 고쳐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양매직(DEH-254PD), 신일산업(SDH-160PC), 오텍캐리어(CDR-1607HQ) 등 3개 제품은 10도 기울어진 경사면에서 뒤로 넘어져 전기용품 안전기준에 맞지 않았다. 3개 업체는 제품이 넘어지지 않도록 고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제습기의 평균 소음은 최대 40㏈, 최소 35㏈로 나타났다. 삼성전자(AY15H7000WQD) 제품이 최대 36㏈, 최소 30㏈로 소음이 가장 작았다. 콜러노비타(DH-162YW) 제품은 최고 소음이 44㏈로 가장 컸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밀폐된 곳이나 어린이, 노약자가 있는 곳에서 제습기를 오래 켜 두면 산소 부족으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제습기를 눕히거나 기울여서 보관하면 열교환기 안의 가스와 기름이 섞여 소음과 고장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4-08-01 1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