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여론조사] “가계빚 줄이기” 38.5% “소비 활성화” 20%

[신년 여론조사] “가계빚 줄이기” 38.5% “소비 활성화” 20%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6-01-03 21:02
업데이트 2016-01-03 22: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임 경제부총리 중점 추진 사항

박근혜 정부 경제팀을 새롭게 이끌 경제수장으로 지목된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에게 국민들이 바라는 ‘최우선 과제’는 무엇일까. 설문 응답자들은 “가계빚 좀 줄여 달라”고 입을 모았다. ‘월급만 빼고 다 오른다’는 자조가 여전한 가운데 집 대출금에, 치솟는 사교육비에, 느는 생활비까지 살림살이가 그만큼 팍팍해졌다는 얘기다. “아직은 가계부채가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정부 진단과 현장 체감온도에 차이가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응답자(1009명) 가운데 38.5%는 ‘가계빚 줄이기’를 중점 개선 사항으로 꼽았다. 이어 소비 활성화(20.0%)가 두 번째였다. 응답자 절반(58.5%) 이상이 국민 생활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이 두 가지에 표를 던진 것이다. 우리 사회가 빚에 쪼들려 돈 쓸 여력이 없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열리지 않는 지갑’ 탓에 기업들도 타격을 입고 있다. 기업 구조조정(12.4%), 규제 개혁(9.5%), 수출 증대(7.0%)가 그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인천·경기(43.8%)가 ‘가계빚 줄이기’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부산·울산·경남(42.3%), 서울(38.0%)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57.6%로 1위였다. 결혼 적령기와 맞물린 까닭에 주택담보대출 등 내 집 마련을 위한 빚 부담이 크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직업별로는 블루칼라(46.2%)와 화이트칼라(44.3%)가 1, 2위로 엇비슷하게 나타났다.

‘소비 활성화’는 광주·전라(29.3%) 지역에서 50대(32.4%) 자영업자(25.9%)가 가장 많이 꼽았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6-01-04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