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서 50세이상 중장년층 비중 급증…절반 차지”

“주택담보대출서 50세이상 중장년층 비중 급증…절반 차지”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1-21 13:12
업데이트 2018-01-21 13: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연구원 보고서…“50세 이상 중장년층 주담대 잔액 8년 새 129% ↑”

최근 몇 년 새 국내 주택담보대출 시장에서 50세 이상 중장년 또는 노령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30·40대의 비중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금융연구원의 금융 브리프에 게재된 ‘우리나라 주택담보대출의 연령대별 비중’에 따르면 국내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50세 이상 차주의 대출 잔액 비중이 2008년 37.1%에서 2016년에는 절반 수준인 46%로 약 9%포인트(p) 가까이 늘었다.

반면에 30∼39세의 비중은 같은 기간 24%에서 19%로 줄었고, 40∼49세의 비중도 소폭 감소했다.

이는 코리아크레딧뷰로(KCB)의 미시 데이터를 바탕으로 2008∼2016년 사이 대출 계좌를 보유한 차주 가운데 3%를 무작위 추출해 분석한 결과다.

주택담보대출 비중의 하락이 대출 잔액 감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2008년에서 2016년 사이 30대 차주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약 50% 증가했다.

다만 50세 이상 차주의 잔액 증가 폭을 따라잡지 못했다. 50세 이상 차주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이 기간 129%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통상적으로 가정을 꾸리거나 아이를 키우는 30∼40대가 집을 사면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뒤 차차 상환해 나가면서 연령이 높아질수록 대출 잔액이 서서히 줄어드는 양상을 보인다.

이 같은 추세는 여전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전체 주택담보대출에서 30대보다는 50세 이상 차주의 비중이 급증한 것은 저출산과 고령화 등으로 인구구조가 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박춘성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인구구조 변화가 주택담보대출 변화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장기적으로 주택담보대출 관리에 있어서 이 같은 변화를 주요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