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츠러든 취준생… 대기업 꺼리고 희망연봉은 낮춰

움츠러든 취준생… 대기업 꺼리고 희망연봉은 낮춰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8-09-30 22:44
업데이트 2018-09-30 23: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기업 선호도 작년보다 7%P 떨어져

대학생 5명 중 1명 “공무원 시험 준비”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 5명 중 1명이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한편 대기업 선호도는 지난해보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이 희망하는 평균 연봉이 전년 대비 40만원 이상 낮아지는 등 ‘고용 쇼크’가 덮친 취업시장에서 대학생들이 움츠러들고 있다.

30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전국의 4년제 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 32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8년 대학생 취업인식도 조사’에 따르면 공무원 시험 응시 및 준비 계획을 묻는 질문에 23.9%가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 중 절반(51.3%)이 9급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7급(38.3%), 5급(6.5%)이 뒤를 이었다.

반면 가장 취업하고 싶어 하는 기업 유형으로 ‘대기업’을 꼽은 응답자는 18.7%로 지난해(25.6%)보다 약 7% 포인트 떨어졌다. ‘공사 등 공기업’(25.0%)은 2년 연속 1위에 올랐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대학생들이 최근 조선,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을 지켜보면서 고용 안정성이 높은 공기업에 대한 선호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대학생들이 희망하는 연봉은 평균 3371만원으로 지난해(3415만원)보다 44만원 낮아졌다.

추 실장은 “구글, 아마존 같은 스타트업들이 대기업으로 성장한 미국은 인재들이 민간 기업에 입사하려고 한다”면서 “우리나라도 이런 환경을 만들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8-10-01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