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실패하기’ 카뱅 금융기술硏 과감한 도전

‘빠르게 실패하기’ 카뱅 금융기술硏 과감한 도전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2-01-24 20:32
업데이트 2022-01-25 09: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실패에서 성과 찾는 안현철 소장

내외부 망 분리 규제서 벗어나
금융업무 연구 빠르게 결과 내

딥페이크로 안면인식 조작 우려
정확도 1%가 ‘보안’ 차이 만들어
이미지 확대
안현철 카카오뱅크 금융기술연구소장
안현철 카카오뱅크 금융기술연구소장
“빠르게 실패하는 게 저희 일입니다.”

24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카카오뱅크 판교오피스에서 만난 안현철(사진·46) 카카오뱅크 금융기술연구소장은 첫마디부터 ‘실패’를 끄집어냈다. 안 소장은 “금융권과 달리 망 분리 규제 예외 적용을 받아 모든 게 빠르게 진행되고 빠르게 실패하고 빠르게 성과를 낸다”고 했다.

전자금융거래법상 망 분리 규제는 내부 업무망과 외부 인터넷망을 분리하도록 해서 금융사 직원들은 원칙적으로 원격 접속을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안 소장의 실패는 이 규제를 적용받지 않아 빠른 실패를 통해 빠른 성과를 도출한다는 의미였다. 이를테면 A, B, C 세 개 논문을 데이터에 적용할 경우 망 분리 규제를 받는다면 개인정보가 빠져나가거나 악성코드가 침범할 위험이 있어 검증과 재시도에 1~2년이 걸리지만 망 분리 규제를 받지 않으면 A논문이 아닌 것 같으면 빠르게 실패하고 B, C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안 소장은 “기술을 개발할 때 데이터 학습과 검증을 위해선 오픈데이터를 반입·반출하면서 연구를 진행해야 하는데, 은행권에서는 보안상 위험성이 있어 기술적인 제약사항이 발생한다”며 “망 분리 규제 예외 적용을 받으면서 협업을 원하는 이들을 자유롭게 부를 수 있게 된 점이 가장 큰 변화”라고 했다.

카카오뱅크를 비롯한 시중은행권은 최근엔 안면인식 기술에 뛰어들고 있다. 연구소는 기존 금융권에서 논의하고 있는 기술을 살짝 비틀어 생각하려 한다. 특히 ‘안티 어뷰징’(부정 사용 행위 방지) 측면에서 차별을 꾀하고 있다. 안 소장은 안면인식 기술을 애플리케이션(앱)에 적용했는데 사용자가 딥페이크로 조작한 화면으로 인식을 시도한다면 어떻게 될까 등 여러 질문을 던졌다. 그는 “이를 걸러 낼 수 있도록 보안 기술의 정확도를 1%라도 높이는 게 차이를 만든다”며 “기존 사용자들이 느꼈던 불편함을 재해석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글 황인주 기자
사진 박윤슬 기자
2022-01-25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