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말정산서 400만명, 98만원씩 토해냈다

지난해 연말정산서 400만명, 98만원씩 토해냈다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23-01-23 14:13
업데이트 2023-01-23 15: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전년도 귀속분 근로소득에 대한 연말정산에서 환급액을 받지 못하고 오히려 추가로 납부한 직장인이 40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DB
서울신문DB
23일 국세청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정산에서 ‘납부할 세액’이 있었던 사람은 393만 4600여명이었다. 연중 미리 떼인 세금이 실제 세금보다 적어 추가 세액을 납부한 것이다. 지난해 연말정산에서 근로소득을 신고한 근로자은 모두 1995만 9000여명이었는데, 이 중 19.7%가 환급액을 받는 대신 추가로 세액을 납부한 것이다. 세금을 돌려받은 사람은 1351만 2000명으로 전체의 67.7%였다.

연말정산 때 세금을 추가로 내는 사람은 점차 느는 추세다. 임금이 올라가고 있어서다. 최근 5년간 추이를 보면 추가세액 납부자는 2017년 322만명에서 이듬해 351만 4000명, 2019년 380만 9000명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 2020년엔 코로나19 사태에 정부가 각종 공제를 늘리면서 추가세액 납부자가 351만 1000명으로 2018년 수준으로 줄었지만, 2021년엔 다시 4000만명에 육박할 수준으로 늘어난 것이다.
이미지 확대
그래픽 이해영 기자
그래픽 이해영 기자


지난해 연말정산 추가세액 납부자가 토해 낸 세금은 모두 3조 8373억원으로 1인 평균 97만 5000원 꼴이었다. 1인 평균 연말정산 세액 납부액은 2017년 85만원, 2018년·2019년 각 89만원, 2020년 92만원으로 점차 늘었다.

한편 지난해 연말정산을 신고한 근로자 중 각종 세액공제 등으로 근로소득세를 전혀 내지 않은 사람은 704만명으로 전체의 35.3%로 나타났다.

민나리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