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에 발목 잡힌 증권사들…상위 7곳 중 5곳이 4분기 적자

부동산에 발목 잡힌 증권사들…상위 7곳 중 5곳이 4분기 적자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4-02-18 19:19
업데이트 2024-02-18 19: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동산 시장 침체에 수천억 비용 반영

이미지 확대
서울 여의도 증권가 전경. 서울신문 DB
서울 여의도 증권가 전경. 서울신문 DB
부동산 시장 침체 여파에 지난해 4분기 국내 7대 증권사 가운데 5곳이 줄줄이 적자를 내며 실적에 빨간불이 켜졌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각 사 기업설명(IR) 자료에 따르면 잠정 실적을 발표한 7대 증권사 가운데 지난해 4분기 순손실 규모로 하나증권(2565억원)이 가장 컸으며 미래에셋증권(1579억원)과 신한투자증권(1225억원), 한국투자증권(258억원), 삼성증권(72억원)이 뒤를 이었다. 순이익을 낸 증권사는 NH투자증권(889억원)과 KB증권(285억원) 등 두 곳에 불과했다.

증권사들 실적에 먹구름을 드리운 건 침체된 국내외 부동산 시장이다. 해외에선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손실로 반영한 금액이 커졌고 국내에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에 대비해 미리 쌓아둬야 하는 충당금 규모가 크게 불어났다. 증권 업계는 회사마다 지난해 4분기에만 충당금으로 1000억원가량 쌓았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 중 부동산 투자에 공격적으로 나섰던 하나증권은 지난해 4분기에만 충당금 1240억원, 평가 손실로 2600억원을 실적에 반영했다. 신한투자증권의 부동산 등 대체투자자산 평가 손실 규모도 1633억원에 달했다.

증권사 7곳 중 3곳은 연간 순이익 역시 전년도보다 악화됐다. 하나증권은 2708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섰으며 신한투자증권은 1009억원 순이익을 내긴 했으나 전년 대비 4분의 1 수준으로 곤두박질쳤다. 미래에셋증권은 2980억원으로 전년 대비 57.8% 감소했다.

한국투자증권은 전년 대비 순이익이 11.5% 늘어난 5974억원으로 7대 증권사 중 가장 양호한 실적을 냈다. 다만 기업공개(IPO)와 자금조달 시장 회복세에도 기업금융(IB) 부문 수익이 대폭 줄었고 부동산 관련 손실도 실적을 깎아내렸다. NH투자증권은 전년보다 83.4% 늘어난 5564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삼성증권과 KB증권은 각각 29.3%, 107.5% 증가한 5480억원, 3896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김성은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