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은 ‘신남방정책’ 핵심 파트너, 정부·기업 MOU 실현 적극 나서야
베트남을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쩐다이꽝 베트남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2020년까지 교역액 1000억 달러 목표 달성을 위해 경제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또 각 분야의 교류협력을 확대·심화시켜 현재의 ‘전략적협력동반자 관계’를 한 단계 격상해 나가자고 뜻을 모았다. 최근 베트남 경제의 비약적인 성장을 고려해 볼 때 이번 정상외교의 의미는 매우 크다고 본다.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교역 다변화가 절실하기에 더 그렇다.이날 양국 정상이 발표한 ‘한·베트남 미래지향 공동선언’에서 가장 눈에 띄는 내용은 교역과 투자 확대를 위한 협력 강화다. ‘교역 1000억 달러 달성 액션플랜 양해각서(MOU)’를 비롯해 소재산업과 교통 및 인프라, 건설 및 도시개발, 4차 산업혁명 대응, 고용허가제 등 다양한 MOU가 양국 정부 간에 체결됐다. 안보와 문화, 환경 분야 등 거의 모든 분야를 아우르고 있지만, 핵심은 투자 확대를 위한 산업별 협력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듯싶다.
교역 1000억 달러 달성 액션플랜은 포괄적이기는 하지만 한·베트남의 경제협력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자는 강한 의지를 담고 있다고 본다. 두 나라의 교역 증가 추세를 보면 목표가 지나친 것도 아니다. 최근 무역협회는 두 나라 교역액이 2020년 10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베트남이 미국을 제치고 중국에 이어 한국의 2대 수출국이 된다는 의미다. 3년 전 한·베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교역이 급증하면서 베트남은 우리나라의 수출 대상국 6위에서 지난해 4위로 발돋움했다. 우리는 중국에 이어 베트남의 2대 교역국이 됐다.
눈여겨볼 점은 베트남의 경제 잠재력이다. 1억명에 육박하는 인구를 갖고 있고, 지난해 6.8%의 성장률을 기록할 만큼 고성장 추세에 있다. 수출 주도형 경제인 데다 미국·중국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우리로선 베트남을 새로운 경제 ‘안전판’으로 기대해 볼 수 있는 대목이다. 한·베트남 경제협력 강화는 문 대통령이 지난해 인도네시아 방문 때 강조한 ‘신남방정책’의 교두보 의미도 있다. 정부는 과도한 대중국 무역 의존도를 낮추고 외교 다변화를 위해 2020년까지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과의 교역액을 2000억 달러로 늘리는 내용의 신남방정책을 추진 중이다. 목표액의 절반이 베트남에 할당된 셈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양국 간의 불행한 역사에 대해 유감의 뜻을 표한다”고 했다. 베트남 참전과 민간인 학살 등에 대해 에둘러 사과함으로써 경제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하자는 의미로 읽힌다. 하지만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속담이 있다. 이번 방문에서 정부는 방대한 분량과 내용의 MOU를 체결했다. 결코 실현이 쉽지 않은 투자와 협력 각서들이다. 결실을 내려면 정부와 기업 관계자들이 발벗고 나서야 한다. 그래야만 보호무역이란 거센 폭풍을 돌파해 경제 영토를 넓힐 수 있다.
2018-03-24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