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로 환도한 뒤에는 1956년 2차로 애국복권을 발행했지만 역시 인기를 얻지 못했다. 복권 판매가 지지부진하자 당국은 공무원들 봉급에서 강제로 복권판매금을 떼는가 하면 동사무소로 복권 판매를 할당해 비난을 샀다. 게다가 복권 부정 사건도 발생했다. 발행 기관인 조흥은행 직원들이 복권 수만 장을 횡령한 것이다. 발매 부진과 부정 사건의 여파로 2차 애국복권은 1956년 말까지만 발행했다. 1959년 1월 단 한 차례 더 발매해 총 10회 발행됐다. 애국복권은 액면가 100환의 추첨식 말고도 200환의 개봉식과 100환의 피봉식도 발행됐다. 즉석복권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1960년대에는 극장복권이라고 있었다. 5·16 이후 군사정부가 탈세를 방지한다는 목적으로 극장 입장권을 복권화한 것인데 입장권의 절반을 추첨을 통해 복권 형식으로 운용한 것이다. 1970년대까지 극장복권은 남아 있었는데 극장 입장권을 사면 괄호 안에 복권이라고 쓰인 글씨를 볼 수 있었다. 명실상부한 복권의 발행은 1969년 주택복권으로 재개됐다. 처음에 주택복권 한 장 가격은 100원이었고 당첨금은 300만원이었다. 그러나 주택복권 역시 판매가 부진해 발행액의 70% 정도밖에 팔리지 않았다. 정부는 9회차부터 당첨금을 500만원으로 올려 판매를 늘려 나갔다. 사진은 여러 종류의 애국복권.
손성진 논설주간 sonsj@seoul.co.kr
2018-03-19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