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의 사회면] 복권 이야기

[그때의 사회면] 복권 이야기

입력 2018-03-18 17:38
수정 2018-03-18 21: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지난해 복권 총판매액은 4조 1538억 2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온라인 복권, 인쇄 복권, 전자 복권 판매액을 더한 금액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복권은 1947년 12월 발행한 올림픽 후원권이라고 한다. 복권 발행으로 모은 경비 8만 달러로 선수단은 이듬해 제16회 런던올림픽에 참가할 수 있었다. 이후 6·25 전쟁 중이었던 1951년 7월 임시수도 부산에서 애국복권이 발매됐다. 전쟁 이재민을 구호하려는 목적으로 부산 국제시장 등 판매소 10곳에서 발매했는데 팔기도 전에 군중이 몰려 “새치기 말라”고 소리치는 등 대혼잡을 빚었다. 이에 질서를 잡느라 교통순경까지 출동하기도 했다(동아일보 1951년 7월 12일자). 1차 애국복권은 4회에 걸쳐 발행됐다. 처음엔 엄청난 인기를 끌었던 복권은 시간이 지날수록 잘 팔리지 않았다. 워낙 삶이 궁핍하던 때라 떨어지면 적은 돈이라도 날린다는 생각도 있었을 것이고 사행행위라는 부정적 인식이 존재했다. 복권 인기가 떨어지자 당국은 복권을 사자는 가두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부산극장에서 밴드와 무용수, 가수들을 불러 놓고 추첨 행사를 거창하게 열기도 했다. 복권 당첨자는 실명과 함께 사연이 신문에 소개됐다. 3회 당첨자는 7명의 가족을 거느린 30대 철공소 직원 박모씨였다. 1등 당첨금은 1000만원으로 복권값의 1만배였다. 지금 돈 가치로는 수천만원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서울로 환도한 뒤에는 1956년 2차로 애국복권을 발행했지만 역시 인기를 얻지 못했다. 복권 판매가 지지부진하자 당국은 공무원들 봉급에서 강제로 복권판매금을 떼는가 하면 동사무소로 복권 판매를 할당해 비난을 샀다. 게다가 복권 부정 사건도 발생했다. 발행 기관인 조흥은행 직원들이 복권 수만 장을 횡령한 것이다. 발매 부진과 부정 사건의 여파로 2차 애국복권은 1956년 말까지만 발행했다. 1959년 1월 단 한 차례 더 발매해 총 10회 발행됐다. 애국복권은 액면가 100환의 추첨식 말고도 200환의 개봉식과 100환의 피봉식도 발행됐다. 즉석복권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1960년대에는 극장복권이라고 있었다. 5·16 이후 군사정부가 탈세를 방지한다는 목적으로 극장 입장권을 복권화한 것인데 입장권의 절반을 추첨을 통해 복권 형식으로 운용한 것이다. 1970년대까지 극장복권은 남아 있었는데 극장 입장권을 사면 괄호 안에 복권이라고 쓰인 글씨를 볼 수 있었다. 명실상부한 복권의 발행은 1969년 주택복권으로 재개됐다. 처음에 주택복권 한 장 가격은 100원이었고 당첨금은 300만원이었다. 그러나 주택복권 역시 판매가 부진해 발행액의 70% 정도밖에 팔리지 않았다. 정부는 9회차부터 당첨금을 500만원으로 올려 판매를 늘려 나갔다. 사진은 여러 종류의 애국복권.

손성진 논설주간 sonsj@seoul.co.kr
2018-03-19 2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