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첫 운영권 中회사에 맡겨…中 범죄조사로 개인정보 요구 땐 언제든지 사진·문서 볼 수 있어
애플이 28일 사상 최초로 아이클라우드 운영을 중국 회사에 맡겨 막대한 사용자 정보가 중국 당국의 손아귀에 들어갔다. 애플은 이날 사용자의 각종 정보가 저장된 아이클라우드 계정을 중국 ‘구이저우 클라우드 빅데이터’로 이전했다. 이는 지난해부터 발효된 중국의 사이버 보안법에 따른 것으로 중국 정부는 중국 안의 모든 기업은 서버를 본토에 두도록 강제했다.애플 측은 “이번 아이클라우드 계정 이전은 중국의 규제에 따른 조치로 아이클라우드의 속도와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고 밝혔지만, 중국의 변호사나 시민단체 등의 우려는 크다. 일단 중국 정부는 인터넷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지 않는다. 2015년 제정된 국가 보안법에 따르면 기업은 경찰에 개인정보 접근을 보장해야만 한다. 애플의 아이클라우드를 구이저우 지방정부가 소유한 기업이 운영하게 된 것은 애플 사용자가 아이클라우드에 저장한 사진, 문서, 연락망, 메시지 등을 언제든 중국 정부가 들여다 볼 수 있게 됐음을 뜻한다.
실제로 자체 보고서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해 상반기 중국 정부가 요청한 데이터의 96%를 제공했다. 애플은 중국 당국에 넘긴 데이터가 이용자와 거래 정보이며 사진, 이메일, 연락망은 아니라고 했지만 어떤 정보를 얼마나 많이 제공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애플은 사용자의 사전 동의 없이 아이클라우드의 계정을 구이저우 데이터센터로 이전하진 않는다고 부연했다. 국제인권단체인 앰네스티는 “아이클라우드의 계정 이전은 중국의 억압적인 법적 환경으로 사용자 사생활과 보안에 대한 애플의 약속이 실현 불가능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애플은 ‘사생활은 기본적인 인권이라 믿는다’는 사명을 내세운다.
지난해 7월 애플은 앱스토어에서 중국의 만리방화벽을 뚫을 수 있는 가상사설망(VPN)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해 원성을 샀다. 중국 당국은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 특정 인터넷 사이트의 접속을 차단해 VPN이 없으면 접근이 불가능하다. 애플은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어떤 뒷구멍(backdoor)도 만들지 않았다고 해명했지만, 중국 정부가 범죄 조사라며 개인정보를 요구할 때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이 된다. 지난 2016년 샌 버너디노 총기 사건 테러리스트의 아이폰 암호를 해독하라는 미국 FBI의 요구와 법원의 결정을 거부했던 애플이 사업상 이익 때문에 사용자의 정보를 내줬다는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 4분기에 중국에서 거둔 수익이 180억 달러에 이르는 등 전체 이익의 20%를 중국에서 벌어들이는 애플로서는 사업 축소를 막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으로 분석된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도 중국 기업과 합작해서 인터넷 저장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앰네스티는 해외 발행 신용카드와 주소가 있는 사용자는 아이클라우드 계정을 중국 외의 국가로 옮기고 그렇지 않을 경우 계정을 삭제하는 것이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길이라고 조언했다.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2018-03-02 1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