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호준 시간여행] 서낭당이 품은 뜻은

[이호준 시간여행] 서낭당이 품은 뜻은

입력 2016-08-02 17:58
업데이트 2016-08-02 18: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충북 진천을 자주 찾는 이유는 농다리를 보기 위해서다. 농다리는 고려 고종 때 임연이 놓았다고 전해지는 ‘1000년 다리’다. 언뜻 보면 엉성하게 쌓은 것 같은 돌다리가 어떻게 홍수와 침식의 긴 시간을 견뎠는지 늘 궁금하다. 농다리를 건너 고개를 넘으면 초평호가 있다. 숲과 호수 사이를 걷는 내내 호젓한 풍경이 펼쳐진다.

초평호로 넘어가는 고개를 ‘용고개’ 또는 ‘살고개’라고 부른다. 고개를 넘을 때마다 잠시 걸음을 멈추고는 한다. 거기 서낭당이 있기 때문이다. 안내판에는 성황당(城隍堂)이라고 써 놓았지만, 민초들에게 더 자주 불렸을 서낭당이라는 말이 좋다. 이곳 서낭당은 원형이 잘 유지된 전형적 형태를 갖추고 있다. 큰 나무에 오색 헝겊을 둘렀고 그 아래에 크고 작은 돌들을 쌓았다. 서낭신을 모시는 사당, 즉 당집은 없다.

1960~70년대까지만 해도 마을마다 이런 모습의 서낭당이 있었다. 서낭당은 주로 고갯마루나 큰길 가에 자리를 잡았다. 마을과 토지를 지켜 주는 신이 서낭신인데, 그 서낭신이 사는 나무(神木, 神樹)나 돌무더기를 서낭당이라고 불렀다. 서낭당은 마을의 안녕을 지켜 주고 잡귀나 병을 막아 주는 역할 외에도, 먼 길에서 돌아오는 가족을 마중하고 길을 떠나는 가족을 배웅하는 만남과 이별의 장소이기도 했다. 그래서 누군가를 기다리는 이가 마을 어귀 서낭당에 나가 하염없이 하늘바라기를 하는 모습은 낯선 풍경이 아니었다.

동네를 지나던 나그네가 서낭당을 만나면 돌을 하나 얹거나 침을 뱉기도 했다. 돌을 얹는 것은 소원하는 것이 이뤄지도록 해 달라고 염원하는 의식이며, 침을 뱉는 것은 길 위를 떠돌아다닌다는 악령의 해를 피하기 위한 것이다. 서낭당에는 매년 정초에 왼새끼로 꼰 금줄을 쳐서 신성한 지역이라는 표시를 했다. 그리고 마을에 불행한 일이 닥치지 않고, 풍년이 들게 해 달라고 제를 지냈다. 당나무에는 아이들의 장수를 빌며 부모가 걸어 놓은 헝겊 조각, 길 떠나는 장사꾼이 돈을 많이 벌게 해 달라고 달아 놓은 짚신 등이 걸려 있었다. 아이를 낳게 해 달라고, 남편의 노름이나 바람기를 재워 달라고, 부모님이 무병장수하게 해 달라고 찾아가는 곳도 서낭당이었다.

이렇게 오랫동안 민초들과 고락을 함께했던 서낭당이 사라지게 된 것은 1970년대부터였다. 불길처럼 전 국토를 휩쓸고 지나간 새마을운동은 서낭당을 향해 이중포화를 퍼부었다. 길을 넓힌다는 이유로 당나무가 베어졌고 쌓아 놓은 돌무더기가 통째로 흩어졌다.

또 다른 시련은 ‘미신(迷信) 타파‘라는 명분 앞에 뭇매를 맞은 것이다. 꼭 그래야 했을까. 길을 넓힌 것이야 편리한 생활환경을 위해 필요했다고 쳐도, 미신이란 이유로 서낭당을 척결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공감하기 어렵다. 풍성한 수확과 마을의 안녕을 빌고 가족의 건강을 기원하던 서낭당이 백성들을 미혹했다는 게 타당한 주장인지. 미혹한 게 사실이라면 누가 어떤 피해를 입었다는 것인지. 세상의 모든 종교가 마음의 평화를 위해 존재하는 게 아니던가.

힘없는 민초들이 등 가려운 소가 언덕에 몸을 비비듯 마음을 기대던 곳. 서낭당 앞에 설 때마다 새기는 뜻이다. 오래된 것이라고 무조건 배척하는 것만큼 어리석인 짓은 없다. 지혜로운 자는 지나간 시간 속에서 지혜를 캐낸다. 공동체의 안녕을 기원하던 그 간절한 마음이야말로 지금의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덕목이 아닐지.
2016-08-03 2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