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양진건의 유배의 뒤안길] 만물의 봄을 되살릴 수 있다면

[양진건의 유배의 뒤안길] 만물의 봄을 되살릴 수 있다면

입력 2018-02-13 17:22
업데이트 2018-02-13 18: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양진건 제주대 교수
양진건 제주대 교수
구면의 TV 작가가 추사 김정희가 제주 유배 중에도 매화를 좋아했냐고 물었다. ‘추사유배길’을 소개하는 TV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싶은데 매화 이야기를 곁들였으면 한다는 것이다. 요즘이 매화가 만개할 때이기도 하고 추사유배길 근처에 커다란 매화공원이 조성돼 있어서 더욱 그랬던 모양이었다. 물론 추사는 제주 유배 중에도 매화를 좋아했다.

매화는 이른 봄, 눈 속에서 제일 먼저 피는 꽃이라고 하여 설중매(雪中梅)라고도 불린다. 매화는 추위가 덜 가신 초봄에 꽃이 피기 시작하므로 봄소식을 알려 주는 나무로 아낌을 받았다. 추위를 이기고 꽃을 피운다 하여 불의에 굴하지 않는 선비를 상징하기에 추사만이 아니라 모든 선비들이 좋아했던 대표적인 꽃이었다.

추사가 제주에서 남긴 시 가운데 ‘우리 집 매화나무가 옛 다리 동쪽에 있었는데(我家金鯽舊橋東), 붉은 꽃 피자 흰 꽃도 따라서 피었네(紅者開兼白者同)’라는 구절이 있다. 이 시를 보면 추사가 유배 생활을 하던 제주도 대정에는 흰 매화와 분홍 매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매화나무는 흰 꽃이 피는 것을 기본형으로 삼고 있으나 분홍 꽃이 피는 것과 구별하기 위해 흰 매화, 분홍 매화로 구분을 한다.

매화가 추위를 견디고 한 점 꽃향기로 만물의 봄을 되살리듯이 선비들은 어려운 형편에 처해서도 절의를 세우고자 애썼다. 오늘 우리 현실도 그러길 바라지만 최근 밝혀지고 있는 공직자들의 국정 농단 문제를 지켜보고 있자면 착잡할 뿐이다. 시대가 변하니 사람도 변했는가? 그럼에도 꽃만은 변하지 않는 것 같다.

큰 감동으로 매화꽃을 본 적이 있다. 어느 날 친구가 매형을 보러 가자기에 당연히 막걸리를 잘 사주시는 그의 매형(妹兄)인 줄 알았다. 그래서 술 생각으로 입맛을 다시며 따라 나섰는데 막상 가 보니 이게 누구인가. 매화가 아니던가. 친구는 곱게 핀 매화꽃이 형 같다며 매형(梅兄)이라 부르며 해맑게 웃었다. 마치 ‘초가삼간이라 그대에게 줄 좋은 것은 없지만(茅屋本無留客物) 자네, 이곳에 와서 매화를 보지 않겠는가(請君來此看梅花).’ 선조 때 이순인 같았다. 그런 친구가 하도 멋져서 필자가 막걸리를 대신 샀고 그날 우리는 매화와 대취했다. 이렇게 설중매를 즐기는 술자리를 매화음(梅花飮)이라 했다. 겨울이 되면 친구를 불러 활짝 핀 매화 화분 곁에 앉아 화로에 고기를 구우며 술을 즐기던 매화음은 조선의 선비들이 즐기던 겨울 풍류였다. 화가 김홍도는 그림을 팔아 3000전을 벌고 나서 매화를 2000전에 사고, 800전으로 술을 살 정도로 매화음을 즐겼다. 술과 안주 외에는 아무것도 즐길 줄 모르는 우리네 술자리에 비하면 얼마나 운치 있는 자리인가.

그러나 매화음 자리가 단순히 운치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혹독한 겨울 추위 속에 핀 매화에게 제대로 배워 어떤 형편에 처해서도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절의를 세우고자 했던 것임을 알아야 한다. 그러기에 꽃에게도 배우려는 자세를 가졌던 선비들을 이해한다면 최근 국정원 특활비 뇌물 사건이나 반사회적 채용비리 등 공직자들의 국정 농단 문제에 대해서 통렬한 자기반성이 있어야 한다. 이번 겨울은 유난히 춥다. 오죽하면 서울을 서베리아라고 하겠는가. 제주 역시 눈폭풍으로 동토의 왕국이 됐다고 난리였다. 그러나 이 혹독한 엄동설한의 추위 속에서도 우리도 모르는 어느새 매화가 곱게 피었다. 이제 매화를 보며 새삼 불의에 맞서 선비들이 끝내 지키고자 했던 절개와 의리를 배울 수 있다면, 그래서 만물의 봄을 되살릴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2018-02-14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