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특파원 칼럼] 백두산과 세계 최대 감옥 중국 신장/윤창수 베이징 특파원

[특파원 칼럼] 백두산과 세계 최대 감옥 중국 신장/윤창수 베이징 특파원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18-09-30 17:42
업데이트 2018-09-30 17: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 고향은 세계 최대의 감옥이 아니라 누구도 나쁜 짓을 할 수 없는,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곳입니다.”
이미지 확대
윤창수 베이징 특파원
윤창수 베이징 특파원
중국의 중견 언론인이 중국에서 꼭 가야 할 곳이라며 추천한 자신의 고향은 다름 아닌 신장자치구였다. 신장자치구는 최근 100만명의 위구르족을 강제 수용했다며 유엔에서 인권침해 문제를 주장해 미국과 중국의 새로운 갈등으로 떠올랐다. 중국 언론인은 신장이 고향이지만 이슬람교를 믿는다는 이유로 박해받는 위구르족이 아니라 만주족이기에 위와 같은 말을 할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유엔의 얼굴을 빌린 미국은 신장을 ‘세계 최대의 감옥’이라고 하지만 중국은 내정간섭이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궈성쿤(郭聲琨) 정법위원회 서기는 지난달 4일간 신장자치구를 둘러보며 인권단체에서 강제 수용이라고 지적한 재교육에 대해 종합 법률교육, 심리 상담, 기술 훈련이라고 부르며 “극단적인 종교를 중국 특색 사회주의로 껴안아야 한다”고 밝혔다.

심지어 중국 국무원의 인권담당 고위 관료는 영국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벨기에, 파리 등 유럽에서 무슬림들이 일으킨 테러 활동을 지적하며 “서방에서는 실패했지만 중국은 이슬람 극단주의를 필요한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다”고 자화자찬했다. 신장자치구에 촘촘히 설치된 감시카메라는 영국으로부터 배운 것이라며 일인당 카메라 숫자는 런던이 훨씬 많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중국의 통치가 없었다면 신장은 아프가니스탄이나 시리아, 이라크 등과 같은 내전과 폭력 사태의 현장이 됐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애초에 중국보다는 중앙아시아에 속하는 신장자치구에서는 1949년 중국에 편입된 뒤 끊임없는 분리 독립운동이 일어났다.

지난 8월 중국 선양에서 북한 사회과학원 학자들도 참석한 국제 워크숍이 화해·평화·번영을 주제로 열렸다. 워크숍의 작은 주제 가운데 하나로 180만명의 조선족을 한반도 통일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란 내용이 있자 중국 측에서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반도 통일과 관련해 중국이 우려하는 여러 가지 문제 가운데 조선족과 백두산이 있는데 조선족은 중국으로서는 위구르족과 마찬가지로 중국 내 50여개 소수민족 가운데 하나일 뿐이며 엄연한 중국 국적의 자국민이다.

북한과 중국이 양분하고 있는 백두산도 중국에서는 창바이(長白)산이라 부르며 우리와 마찬가지로 신성시한다. 중국 일부에서는 통일이 되면 백두산을 비롯한 현재의 국경을 두고 분쟁이 벌어질 것이라 내다보고 있다. 백두산 천지도 54%가 북한, 48%가 중국 영토다.

중국이 백두산에 쏟는 관심과 열정은 대단한데 미국의 국립공원과 같은 수준으로 관리하고 보호할 뿐 아니라 대규모 투자도 벌여 9개의 세계적인 체인 호텔이 모여 있는 완다리조트를 건설했다. 20㎢의 원시림에 조성된 완다리조트는 아시아 최대 스키장과 54개 홀의 골프장이 들어서 작은 도시와도 같은 위용을 자랑한다. 완다리조트와 차로 30분 거리에 있는 창바이산공항은 베이징, 상하이 등과 같은 중국 대도시와 연결돼 있다.

북한은 ‘우리 민족끼리’를 내세우지만 듣기에는 그럴듯한 그 구호만으로는 어쩔 수 없는 것이 우리 처지다. 결국 한반도는 신장자치구와 성격은 다를지 몰라도 미국과 중국이란 양대 강국이 충돌하는 여러 전선 가운데 가장 중요한 곳일 뿐이다.

중국이 항상 강조하는 한반도 평화를 위한 건설적 역할을 하겠다는 말이 진정 긍정적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은 결국 우리의 일이다.

geo@seoul.co.kr
2018-10-01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