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장준우의 푸드 오디세이] ‘혁신의 장’에서 엿보는 식품의 미래

[장준우의 푸드 오디세이] ‘혁신의 장’에서 엿보는 식품의 미래

입력 2018-10-31 20:32
업데이트 2018-10-31 2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탈리아 타지아스케 올리브로 만든 진(왼쪽). 올리브를 진의 재료로 만든다는 참신한 발상이 인상적이다. 콩 단백질로 만든 ‘모어 댄 라이스’(가운데). 쌀보다 영양가가 훨씬 높다. 콩을 이용한 대체단백질로 만든 비욘드 버거(오른쪽). 고기 분쇄육이 씹히는 식감과 고기 맛까지 실제 햄버거 패티와 유사하게 구현했다.
이탈리아 타지아스케 올리브로 만든 진(왼쪽). 올리브를 진의 재료로 만든다는 참신한 발상이 인상적이다. 콩 단백질로 만든 ‘모어 댄 라이스’(가운데). 쌀보다 영양가가 훨씬 높다. 콩을 이용한 대체단백질로 만든 비욘드 버거(오른쪽). 고기 분쇄육이 씹히는 식감과 고기 맛까지 실제 햄버거 패티와 유사하게 구현했다.
‘미래의 음식’ 하면 연상되는 장면이 있다. 번거롭게 음식을 요리하거나 외식을 하는 대신 간편하게 알약이나 캡슐 하나로 하루에 필요한 영양을 섭취하는 미래 인류의 모습이다. SF 영화나 소설에서 종종 등장하는 이야기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아직 한 알이면 포만감과 만족감을 동시에 주는 알약 같은 건 등장하지 않았다. 종종 한 포로 공복감을 잊게 해주는 다이어트 제품이나 우주비행사들을 위한 튜브형 식품을 볼 때면 그날이 머지않아 올 것 같기도 하다.
이미지 확대
2018 시알 파리 혁신상 수상자들.
2018 시알 파리 혁신상 수상자들.
그러나 단언컨대 알약이나 캡슐 하나로 식사를 대체하는 그런 날은 오지 않을 것이다. 기술의 문제라기보다 인간의 본능 때문이다. 지금껏 그래 왔고 앞으로도 먹는 즐거움을 인간이 포기하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세계에서 가장 큰 국제식품박람회인 ‘2018 시알 파리(SIAL Paris)’를 둘러보고 나서 내린 결론이다.

2년마다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시알 파리는 전 세계 식품 트렌드를 한눈에 읽을 수 있는 행사다. 단순히 전 세계의 식품생산자들이 모이는 것이 아니라 주목할 만한 혁신적인 제품을 발굴, 시상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번 시알 파리의 키워드는 ‘맛’과 ‘진실성’ 그리고 ‘의미’다. 건강하지만 맛없는 음식은 더이상 선택받지 못할 것이다. 소비자들은 건강하면서 맛보는 즐거움도 함께 주는 제품을 원한다. 동시에 식품이 무엇으로 만들어졌으며 재료들이 어디서 왔는지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알기 원한다. 그리고 그 식품을 소비하면 스스로에게, 나아가 이 지구의 환경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원한다. 정리하자면 ‘내 몸에도 좋고 동시에 환경에도 좋은 투명한 식품’이 앞으로 미래의 식품이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이 될 것이라는 의미다.
이미지 확대
장준우 셰프 겸 칼럼니스트
장준우 셰프 겸 칼럼니스트
맛과 진실성, 그리고 의미에 대해 곱씹어 보면 미래의 식품이라는 것이 그렇게 멀리 있는 게 아님을 알 수 있다. 우리가 마트나 편의점, 시장에서 일상적으로 접하는 가공식품을 생각해 보자. 지금을 살고 있는 우리에게는 너무나 익숙하고 당연하지만 과거에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던 제품들이다. 전자레인지에 데우기만 하면 되는 밥, 통조림과 레토르트 제품, 냉동식품 등은 처음 선보일 때만 하더라도 혁신적인 제품이었다.

사회가 복잡하고 정교해질수록 식재료를 직접 사다가 요리하는 시간은 점점 줄어들 수밖에 없다. 선진국일수록 가공을 거치지 않은 농산물 구입 비중은 줄고 가공식품, 외식의 비중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사실 이런 방향은 사회구조상 필연적이지만 어떤 이들에게는 꽤 불편해 보이는 일일 수 있다. 자연스럽지 않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인식 때문이다. 가공식품은 몸에 나쁘고 환경에도 나쁜 음식이라는 꼬리표가 따라붙는다. 실제로 그랬었고 지금도 건강에 좋지 않은 가공식품이 있다는 사실은 부인하기 힘들다.

하지만 그렇다고 모두가 자연 상태의 식재료를 사다가 요리를 해 먹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자급자족하는 게 아닌 이상 현재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가공식품이 없는 삶은 생각할 수조차 없다. 마트에 신선식품만 있다고 상상해 보자. 누군가에게는 유토피아처럼 보일지 몰라도 인류 대부분에게는 디스토피아일 가능성이 크다.

미래의 음식은 알약이나 튜브 형태가 아니라, 기존의 가공식품의 맛과 영양이 강화되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생산되는 제품이 될 것이다. 실제로 그렇게 되고 있다는 증거를 시알 파리에서 엿보았다. 대체 단백질로 만든 육류 가공품이나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재배·사육하고 친환경 재질로 포장한 제품, 씨나 껍질 등 버려지는 식재료를 최대한 활용한 가공품 등이 그것이다. 수없이 많은 비슷비슷한 제품 중 번뜩이는 아이디어와 재치, 그리고 참신한 가치로 무장한 식품들은 확실히 이목을 끄는 힘이 있다.

아직도 기아에 허덕이는 개발도상국의 소비자들에게는 먼 이야기처럼 들리겠지만 선진국의 소비자들은 저렴한 것 이상으로 맛 좋고 몸에 좋고 환경에도 좋은 제품에 지갑을 열고 있다. 가성비가 아닌 ‘가치’가 소비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의 생산자는 어떻게 하면 제품의 가치를 끌어올릴 수 있을까를 고민해야 한다. 살 수 있는 가장 저렴한 가공식품의 품질이 한 단계 오른다면 우리는 그만큼 미래로 한 발자국 다가선 것과 같다. 얼핏 시시해 보일지 몰라도 해오던 방식을 조금씩 바꾸면 나비효과처럼 많은 것들이 변할 수 있다. 혁신은 작은 변화에서부터 시작된다.
2018-11-01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