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m 룰’… 토종 빅맨 날다

‘2m 룰’… 토종 빅맨 날다

한재희 기자
입력 2018-11-13 00:12
업데이트 2018-11-13 1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국인 선수 신장 제한에 달라진 KBL

국내 선수 2점슛·블록슛 공헌도 껑충
오세근·김종규·최진수 리바운드 늘어
작아진 外人, 어시스트·3점 비중 상승
풍선효과 탓… 국제 경쟁력 약화 우려도
이미지 확대
내가 골밑의 제왕
내가 골밑의 제왕 프로농구 2018~19시즌 초반 토종 빅맨들의 골밑 활약이 도드라지고 있다. ① 지난달 30일 삼성과의 창원경기에서 골밑 원핸드 덩크를 시도하고 있는 LG 김종규(207㎝). ② 지난 6일 안양경기에서 삼성 수비수를 제치고 골밑슛을 올리는 인삼공사 오세근(200㎝). ③ 지난달 25일 고양경기에서 상대 수비를 따돌린 뒤 가볍게 림을 공략하고 있는 오리온 최진수(203㎝). 뉴스1
‘프로농구에 토종 빅맨 전성시대가 열리나?’

올 시즌 초반 국내 선수들이 골밑에서 일취월장한 실력을 뽐내고 있다. 골밑을 더이상 외국인 선수들에게만 맡겨두지 않는 것이다. 올 시즌부터 KBL에서 외국인 선수들의 신장을 2m 이하로 제한하자 국내 빅맨들도 높이 싸움에서 밀리지 않는 모양새다.

지표가 이를 설명해준다. 2017~18시즌 국내 선수들은 전체 리바운드의 55.24%를 책임졌다. 2018~19시즌에는 61.05%로 공헌도가 급등했다. 블록슛에서도 국내 선수들은 지난 시즌 전체의 50.62%를 차지했지만 올 시즌에는 64.77%로 비중이 더 높아졌다. 2점슛 성공도 지난 시즌 45.30%에서 올 시즌 49.51%로 끌어올렸다.

분야별 성적 톱20 이내의 국내 선수 숫자를 따져 봐도 리바운드(6명→8명), 블록슛(10명→11명), 2점슛 성공(2명→5명)에서 모두 지난 시즌에 비해 비중이 늘어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덩치가 좋은 외국인 선수들과 몸싸움을 벌이면서도 오세근(KGC인삼공사·200㎝)은 경기당 평균 리바운드 전체 7위(9.4개), 김종규(LG·207㎝)는 9위(9.2개) 최진수(오리온·203㎝)는 11위(6.3개)에 위치해 있다. 세 명 모두 지난 시즌에 비해 리바운드가 0.4~3.2개씩 늘었다. 김종규는 올 시즌 경기당 31분 43초를 뛰며 12.6득점, 블록슛 1.6개, 야투 성공률 58.1%로 대부분의 기록에서 ‘커리어하이’를 찍고 있다.

지난 3월 말 발목 수술을 받아 국가대표에서 잠시 하차했지만 재활에 성공하며 국내 토종 빅맨의 자존심을 지켜 내고 있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외국인 선수들도 변화에 적응하고 있다. 여태까지 장신 외국인 선수들은 주로 골밑 플레이 위주로 펼쳤는데 이제는 역할이 좀 더 다양해졌다. 외국인 선수들이 차지하는 어시스트 공헌도(30.62%→34.23%)가 늘어나면서 국내 선수들과의 유기적 플레이가 자주 나오고 있다. 다른 리그에서는 주로 포워드나 가드로 뛰었던 2m 이하의 외국인 선수들은 자신의 본래 장기였던 외곽포를 자신 있게 쏘면서 3점슛 성공 공헌도(19.98%→32.34%)도 큰 폭으로 늘었고, 수비에도 적극 가담함에 따라 굿디펜스(15.71%→27.00%)에서도 지난 시즌에 비해 공헌도가 대폭 상승했다.

하지만 회의적 시선도 존재한다. 토종 빅맨들이 실력을 키웠다기보단 용병 선수들의 신장이 줄어듦에 따른 반사효과에 불과하단 것이다. 당장 이번 달 29일(레바논)과 다음달 2일(요르단)에 열리는 국제농구연맹(FIBA) 중국농구월드컵 아시아 예선에는 신장 제한이 없는데 그때도 토종 빅맨들이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 의문인 상황이다.

김일두 MBC스포츠플러스 해설위원은 “국내 선수들이 외국인 선수와의 몸싸움이나 공격 면에서 자신감이 붙은 것은 긍정적이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는 ‘우물 안 개구리’가 될 수 있다”며 “2m 이상의 외국인 선수들을 많이 경험해 보지 않다 보면 국제 경쟁력이 약화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8-11-13 2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