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갑질지수/박현갑 논설위원

[씨줄날줄] 갑질지수/박현갑 논설위원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18-11-19 22:16
업데이트 2018-11-19 23: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행복, 불평등 등 인간의 감정 상태는 계량화할 수 있을까? 수치화할 수 있다면 갈등은 줄이고 평등과 행복은 높일 수 있을 게다. 엥겔지수나 행복지수 등은 이러한 고민의 산물이었다.

1857년 독일의 통계학자 엥겔은 식료품비가 가계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엥겔지수’로 제시했다. 식료품비가 가계의 총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가난하다는 것이다. 이탈리아 통계학자인 지니는 1912년 빈부격차와 계층 간 소득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를 발표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경제적 불평등이 심하다는 뜻이다. ‘행복지수’도 있다. 영국의 심리학자 로스웰과 인생상담사 코언이 2002년 발표한 행복 공식으로 자신이 얼마나 행복한가를 측정하는 지수로 만점인 100점에 가까울수록 행복도가 높은 것으로 본다.

이 같은 지수가 모든 사회에 적용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 나라의 경제발전 수준이나 국민의식 수준 등 지수 외적인 요소들도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회현상을 계량화하려는 노력이 쌓이면 쌓일수록 그 사회의 합리성은 올라가고 부조리는 개선될 것이다.

어제 우리나라에서 주목할 만한 지수가 발표됐다. 직장갑질 119라는 비영리 단체에서 만든 ‘2018 대한민국 직장인 갑질지수’다. 직장인들이 막연하게 느끼던 갑질의 정도를 수치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68개 항목별로 직장 내 갑질 정도를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100점(매우 나쁨) 기준 35.0점이 나왔다. 100점에 가까울수록 노동 인권 차별이 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한다. 근로기준법이나 남녀고용평등법, 산업안전보건법 등 기존의 법률만 지켜도 해결되는 갑질이 많았다는 점은 천민자본주의에 기반한 후진적 노사관을 드러낸다. 게다가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하는 7개 항목이 40점 이상으로 나왔으나, 이를 해결할 직장 내 괴롭힘 방지법은 국회에서 두 달 넘게 잠자고 있다.

심리학자 메슬로는 1943년 인간 욕구에 관한 5단계 이론을 발표했다. 사람은 누구나 다섯 가지 욕구를 단계적으로 충족시키려 한다는 것이다. 생리적 욕구를 맨 먼저 충족시키려 하고, 이것이 어느 정도 채워지면 안전에 대한 욕구, 사랑과 소속 욕구, 존경 욕구, 자아실현 욕구로 나아간다는 것이다. 메슬로의 이론을 빌리지 않더라도 갑질은 인간의 정신적 안전 욕구를 저해하는, 청산돼야 할 나쁜 기업 문화다.

해외 언론은 갑질에 걸맞은 단어가 없어 우리말 발음 그대로 ‘gapjil’로 쓰고 있다.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갑질지수 공개가 건전한 직장 문화 정립의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박현갑 논설위원 eagleduo@seoul.co.kr
2018-11-20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