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골목길 ‘묻지마 폭행’ 잡는 AI핵심 기술 나왔다

골목길 ‘묻지마 폭행’ 잡는 AI핵심 기술 나왔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8-11-20 14:19
업데이트 2018-11-20 14: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ETRI, 쓰레기 무단투기 단속에 적용...세종시와 서울은평에 시범운용

ETRI 시각지능연구그룹이 개발한 시각인공지능 ‘딥뷰‘가 영상에서 사람의 관절 형태를 분석하여 쓰레기 투기 장면을 인식하는 모습 ETRI 제공
ETRI 시각지능연구그룹이 개발한 시각인공지능 ‘딥뷰‘가 영상에서 사람의 관절 형태를 분석하여 쓰레기 투기 장면을 인식하는 모습
ETRI 제공
최근 폐쇄회로(CC)TV 사각지대나 골목길에서 타인을 ‘묻지마 폭행’해 상해를 입히거나 살해하는 경우가 발생해 충격을 주고 있다. CCTV가 설치돼 있지만 관제센터에서 제 때 파악하지 못해 출동시간이 늦어져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도 잦다.

이 뿐만 아니라 한 밤 중에 몰래 쓰레기를 투기해 도시 미관을 해치는 일이 벌어지기도 하지만 CCTV의 화질이나 인력문제 때문에 단속이 쉽지 않다.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을 이용해 사람의 행동을 관절수준으로 정밀하게 인식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우선 쓰레기 불법투기 지역에 적용키로 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소프트웨어(SW)컨텐츠연구소는 시각인공지능 ‘딥뷰’를 이용해 도심지역에서 쓰레기 불법투기 행위를 단속하는데 활용한다고 20일 밝혔다. 기존의 인공지능 기술은 사람을 인식하는데 그쳤지만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사람이 물건을 내려놓거나 던지거나하는 행동을 정확하게 인식해 경고방송을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쓰레기 투기는 물론 도심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범죄나 사건을 감지해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팀은 인공지능(AI)의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사람의 관절 위치와 사람이 들고 가는 물체를 인식하고 사람과 물체의 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기존의 시각인공지능은 CCTV 화질에 따라 사람의 행동을 잘못 인식하거나 설치지역을 지나가기만 하더라도 문제 행동으로 인식하는 문제가 많았다.

이번 기술은 사람의 관절 포인트의 변화에 따른 행동 인식과 사물 파악 추적 기술이 핵심이다. 쓰레기 무단 투기의 경우 쓰레기 더미를 인식하고 사람이 들고 있는 물체가 쓰레기 봉투인지를 파악한 뒤 사람의 관절포인트와 행동을 인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지, 쓰레기를 던졌는지, 쓰레기를 투기한 것인지 등 쓰레기 투기 행동 패턴을 파악하고 판단하게 된다.
시각인공지능 ‘딥뷰‘의 CCTV 동작화면에서 각기 다른 사물을 판별해내는 모습 ETRI 제공
시각인공지능 ‘딥뷰‘의 CCTV 동작화면에서 각기 다른 사물을 판별해내는 모습
ETRI 제공
실제 실험에서도 쓰레기 무단 투기를 하자 CCTV에서 ‘찰칵’소리를 내며 “사진이 촬영됐습니다. 투기물을 가져가지 않으면 관련법에 따라 처벌받게 됩니다”라는 경고메시지가 정확히 방송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을 활용해 매장에서 소비자의 행동분석, 교량이나 고층건물에서 자살행위 감지 예방, 공장 근로자의 위험 행동 경고, 우범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건에 대한 경고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팀은 우선 세종특별자치시와 서울시 은평구에 기술을 적용해 부족한 부분을 검증해 보완한 뒤 영상관제나 검색 업체 등 민간에 기술이전을 할 계획이다.

ETRI 관계자는 “이번 시각인공지능 기술은 도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범죄사건과 쓰레기 무단투기 등 문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번 기술은 시각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시민의 안전이 우선되는 스마트시티 구현에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