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야학 가고, 돈 관리도 직접… 도자기공예 꿈 생겼어요”

[단독] “야학 가고, 돈 관리도 직접… 도자기공예 꿈 생겼어요”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9-04-18 21:02
업데이트 2019-04-19 02: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발달장애인 김수지씨의 홀로서기

김수지씨
김수지씨
18일 서울 종로구청 인근 커피숍. 알록달록 과일 음료가 진열된 주문창구에서 발달장애인 김수지(24·여)씨는 신중에 신중을 기해 음료를 골랐다. 수지씨가 메뉴판에 적힌 음료 이름을 천천히 읽는 동안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코디네이터인 김유진(34·여)씨는 재촉하지 않고 음료를 선택하길 기다렸다. 고심 끝에 이날 수진씨가 고른 음료는 ‘플레인 요거트 스무디’다.

그저 음료수 한 잔일 뿐이지만 수지씨에게 ‘선택’이란 늘 새롭고 가슴 설레는 일이다. 중학생 때 장애인 생활시설에 입소해 6년을 생활하는 동안 수지씨는 ‘선택’과는 거리가 먼 삶을 살아왔다. 때가 되면 식사가 나오고, 시설 선생님이 골라준 옷을 입고, 시설에서 짠 시간표대로 움직였다.

수지씨는 이날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시설에 있을 땐 뭘 산 적이 없었는데, 시설을 나오니 맛있는 것도 마음껏 사 먹고, 통장과 카드도 내가 관리한다”고 뿌듯해했다. 수지씨는 시설에 있던 친구가 자립해 그룹홈으로 가는 것을 보고 2016년에 용기를 내 시설을 나왔다. 이른바 ‘탈시설’을 한 지 4년째다. 지금은 가정집 형태의 ‘그룹홈’에 둥지를 틀고 장애인 3명과 함께 산다. 시설을 나온 지 얼마 안 됐을 땐 집에서 근처 골목까지 혼자 나가는 데 20여분이 걸렸다. 지금은 체육관과 병원을 혼자 다닌다. 수지씨는 “출근해 식탁을 닦기도 하고, 수건을 빨고, 야학도 간다”고 말했다.

강제구금과 폭행 등 인권 침해로 논란이 된 문제 시설이 아니더라도 장애인들에게 시설은 사회와 격리된 감옥 같은 곳이다. 김필순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사무국장은 “죽지 않도록 사람의 생명을 연장해주는 공간일 뿐”이라며 “감옥은 출소 기일이라도 있지만 시설은 그런 것조차 없는 곳”이라고 말했다.

수지씨의 자립을 돕는 유진씨는 “층간소음이 발생하면 이웃들이 우리 그룹홈 때문이라고 지레 짐작하고서 항의한다”며 “한곳에 오래 머무르기가 어렵다”고 털어놨다. 수지씨는 요즘 꿈이 생겼다. 도자기 공예가 하고 싶다고 한다. 그룹홈을 나와 혼자서도 살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 그는 “혼자 사는 것도 연습해야 해요”라고 미소 지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9-04-19 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