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그때의 사회면] 대한뉴스와 애국가/손성진 논설고문

[그때의 사회면] 대한뉴스와 애국가/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19-11-17 17:02
업데이트 2019-11-18 02: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뉴스와 애국가 등의 상영시간이 너무 길다고 비판한 기사(1983년 4월 23일자).
대한뉴스와 애국가 등의 상영시간이 너무 길다고 비판한 기사(1983년 4월 23일자).
1994년까지 영화가 시작되기 전 극장 안 풍경은 지금과 달랐다. 애국가가 울려 퍼지면 관객들은 일어나 국민의례를 해야 했고, 이어서 ‘대한뉴스’라는 국정홍보 영화를 의무적으로 봐야 했다. 1987년 어느 극장의 예를 보면 본영화가 시작되기 전에 관객들은 상품 광고 11분, 애국가 1분 30초, 대한뉴스 7분, 문화영화 7분, 가족계획 캠페인 1분 등 27분 동안이나 다른 영상물을 억지로 봐야 했다. 예고편까지 더하면 40분이나 걸렸다.

재개봉관들은 더 심했다. 대한뉴스 등이 길어지면 관객들은 “너무한다, 빨리 시작하라”며 야유와 휘파람을 쏟아냈고 일부 관객들은 본영화를 상영하기 전까지 로비에서 기다리다 한꺼번에 입장하기도 했다. 문화 영화는 학교 도덕 교육처럼 훈계조여서 비난을 샀다(동아일보 1992년 1월 3일자).

대한뉴스의 출발은 광복 후 미군정하의 ‘조선시보’라는 홍보 영상이었다. 조선시보는 상하이 임시정부 요인들의 귀국 등 역사적 장면을 영상 기록으로 남겼다. 1952년부터 정부는 ‘대한뉴-스’라는 제호로 홍보 영상물을 제작, 이동영사반이 지방을 돌면서 사람들이 많이 모인 곳에서 상영했다.

맞춤법 변화에 따라 ‘대한늬우스’, ‘대한뉴우스’라는 이름도 가졌던 대한뉴스는 1994년 2040호를 끝으로 제작이 중단됐다. 대한뉴스는 대통령 동정과 정부 시책 홍보에 치중하고 매주 한 번씩 촬영한 철 지난 구문(舊聞)을 내보내 뉴스로서 가치도 떨어졌다. 그러나 변변한 볼거리가 없던 1950~60년대에 유일한 영상 뉴스로 인기가 높았고 현대사 속의 큰 사건이나 생활상, 문화행사 등을 카메라에 담아내 사료적 가치도 크다.

애국가는 1967년 6월 6일 서울의 전 개봉관에서 처음 상영됐다. 상영되는 줄을 알지도 못했던 관객들은 갑자기 애국가가 나오자 일어나지도 않고 멀뚱멀뚱 쳐다만 봤다. 일부 관객은 껌을 씹으며 보고 있었다. 몇 년 후 애국가가 나오는데도 의자에 앉은 채로 담배를 피우던 어떤 청년은 보다 못한 관객들의 고발로 즉심에 넘겨지기도 했다(동아일보 1971년 3월 19일자). 변두리 극장에서는 애국가 필름이 낡아 관객들이 국민의례를 하는 도중 끊기거나 자막이 지워지는가 하면 화음이 엉망이 돼 웃음거리가 되기도 했다.

“자리에서 일어서서 잠시나마 나라 사랑하는 마음을 가져 봅시다”라는 멘트도 문제가 됐다. 평소에 얼마나 나라를 사랑하지 않았으면 ‘잠시나마’라고 썼겠느냐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1971년 3월 15일부터 전국 극장에서 애국가를 상영했고, 1988년 전두환 정권이 물러난 뒤에야 상영이 중지됐다.

sonsj@seoul.co.kr
2019-11-18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