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총리의 나이/박록삼 논설위원

[씨줄날줄] 총리의 나이/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19-12-12 17:36
업데이트 2019-12-13 0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세상을 떠난 김종필(1926~2018)은 5·16 군사 쿠데타의 주역 중 하나로서 중앙정보부장, 공화당 부총재 등을 거친 뒤 1971년 만 45세에 국무총리에 올랐다. 60대 총리를 당연시하는 요즘 기준으로는 매우 젊었다. 그래도 최연소 총리는 아니었다.

한국전쟁 정전협정 직전인 1953년 4월 백두진 전 총리가 만 44세로 총리에 취임했다. 제1공화국 초대 이범석 전 총리는 47세, 제3공화국 9대 정일권 전 총리는 46세, 노무현 정부 때 이해찬 전 총리는 52세였으니 돌이켜 보면 놀랄 만큼 젊은 나이도 아니었다. 일국의 내각을 거느리는 일에 굳이 지긋한 나이가 필요하지는 않았다. 특히 기존의 가치와 관행, 제도가 모두 전복될 수밖에 없었던 해방 이후 새로운 사회를 만드는 과정에서는 더더욱 젊은 세대의 약진이 필요하기도 했을 테다.

핀란드의 신임 총리가 국제적 화제다. 산나 마린(34) 총리다. 핀란드의 세 번째 여성 총리다. 마린 총리는 20대 초반부터 정당정치 활동을 시작, 2012년 27세 나이에 시의원으로 선출됐고 2015년부터 사민당 의원으로 활동한 재선의원으로 교통부 장관을 지냈다. 마린 총리는 19개 부처 중 재무장관 및 부총리, 내무장관, 교육장관 등 절반이 넘는 12개의 장관직에 여성을 임명하는 파격적 내각을 구성했다. 이 중 30대 장관이 4명인데 모두 여성이다. 내각의 평균연령은 47세다.

2017년 뉴질랜드에서도 저신다 아던이 37세로 여성 총리가 됐고, 총리로서 출산휴가까지 다녀왔다. 오스트리아의 쿠르츠 전 총리는 2017년 31세에 총리가 됐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2017년 취임 당시 39세였다.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 역시 2015년 44세에 총리 자리에 올랐고, 좀더 거슬러 가면 1997년 영국에서도 토니 블레어가 44세에 총리가 됐다. 안팎의 여러 사례에서 보듯 변화와 혁신, 도전이 필요한 시간과 공간에는 젊음의 가치가 득세했고 그들이 뜻을 펼쳤다. 현실에 안주하고자 한다면 도전의 과제, 혁신의 목표를 설정할 이유가 없으며 젊은 세대의 젊은 가치를 탐할 필요도 없었을 테다.

40대 대기업 임원이 수두룩한 세상이다. 혁신하지 않고서는 급변하는 세상을 따라잡기 힘든 탓이다. 민간의 영역이 이럴진대 우리의 정부 영역은 여전히 모르겠다. 새 세대를 대변할 30대 정치인, 30·40대 장관을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이낙연(67) 국무총리의 후임으로 누가 임명될지 알 수 없다. 이 총리가 유임될 수도 있다. 또 김진표(72) 의원, 정세균(69) 전 국회의장 등이 입길에 오르내린다. 최종적인 결과가 어찌되든 연륜, 안정감 등의 가치가 강조되는 것으로 보인다. 유권자들은 패기, 혁신의 상징을 기대하는데 말이다.

2019-12-13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