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1세기로 온 향단이… 바로 나였구나

21세기로 온 향단이… 바로 나였구나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0-09-20 17:26
업데이트 2020-09-21 1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창작극 ‘몽중인-나는 춘향이 아니라,’

소리꾼 이승희, 춘향전 현대판 재해석
꿈속서 2020년 서울로 일하러 간 향단
고된 노동과 짓밟힌 인권 탓에 허덕여
다양한 변주곡… 시대 넘나드는 몰입감

이미지 확대
서울 종로구 두산아트센터에서 창작 판소리 ‘몽중인- 나는 춘향이 아니라,’를 공연하는 소리꾼 이승희는 판소리 ‘춘향가’에서 조연에 그치는 향단을 무대의 주연으로 불러와 이야기한다. 춘향의 꽁무니만 좇던 향단을 그 시대의 노동자에서 2020년 서울의 청년으로 소환해 존재의 이유를 찾는다. 공연에선 고수 이향하와 베이시스트 장혁조가 각각 과거와 현재를 반주한다. 두산아트센터 제공
서울 종로구 두산아트센터에서 창작 판소리 ‘몽중인- 나는 춘향이 아니라,’를 공연하는 소리꾼 이승희는 판소리 ‘춘향가’에서 조연에 그치는 향단을 무대의 주연으로 불러와 이야기한다. 춘향의 꽁무니만 좇던 향단을 그 시대의 노동자에서 2020년 서울의 청년으로 소환해 존재의 이유를 찾는다. 공연에선 고수 이향하와 베이시스트 장혁조가 각각 과거와 현재를 반주한다.
두산아트센터 제공
판소리 ‘춘향가’에서 향단은 조연 중의 조연이다. 향단의 역할은, 단오날 그네 뛰던 춘향과 그에 반한 이몽룡의 대화를 이어 주는 ‘쪽지’ 수준이다. 그런 향단을 주연으로 끌어올리고, 이름에 배경도 붙여 줬다. “춘향이 ‘향’자 따고 ‘끝 단’자 따서 향단이 하면 쓰겄다.”

동시에 그의 고민에 주목했다. 우리가 춘향 인생의 최대 위기로 봤던 그 순간, 춘향이 변사또의 수청을 거부해 옥에 갇힌 부분은 따져 보면 오로지 춘향을 위해서만 살아온 향단에게도 이만한 위기가 있을까. “이제 나는 어떡하면 좋지?”

지난 16일 서울 종로구 두산아트센터에서 막을 올린 창작 판소리 ‘몽중인- 나는 춘향이 아니라,’는 이렇게 시작된다. 한 번도 자신에 대해 생각해 보지도, 그럴 필요도 없었던 향단이 스스로에 대해 생각이란 것을 해야만 하게 되면서다.

작품은 구상·작·작창·소리를 맡은 소리꾼 이승희가 2년 전 춘향의 내면을 들여다본 ‘동초제 춘향가- 몽중인’의 두 번째 연작이다. 춘향의 그네를 뒤에서 밀던 향단이 ‘딱해서’ 이번에는 향단을 무대로 세웠다.

처지를 골몰하던 향단은 꿈속에서 2020년 서울에 왔다. ‘언니’라는 사람을 만나 도움을 받고 “네 자신을 위한 일을 해보라”는 권유에 취직도 한다. 여기서부턴 먹고살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달리는 청년 노동자들과 많이 닮았다. 새벽 5시 사무실 청소, 정오부턴 카페 아르바이트, 저녁엔 패스트푸드에서 일하며 꽉 찬 일상을 보낸다. 마치 랩을 하듯 다양한 메뉴의 커피 주문을 받고 햄버거를 조리하는 과정이 우스꽝스럽게 그려진다. 일도 열심히 잘하고 시급까지 받으니 향단은 춘향을 좇던 삶보다 나아진 듯한 느낌도 받는다.

그런데 어쩐지 삶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고된 노동은 여전했고 카페 매니저는 희롱을 일삼았다. 퇴근길 지하철에 자리가 있길 바라는 향단의 축 처진 얼굴은 우리 모습 그대로다. 언니는 “넌 뭐든 될 수 있다”는데 오히려 향단은 “뭐가 뭔지 알아야 뭐가 되든지 말든지”하며 좌절한다. ‘뭐’에만 고음을 올려 연신 꺾어대는 소리가 향단의 극심한 혼란을 보여 준다.

향단은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얼굴들을 돌아보고서야 비로소 존재 의미를 발견한다. “네가 있어 다행”이라는 말을 듣고 특별히 뭔가를 하지 않아도 존재만으로 누군가에게 위안이 될 수 있다는 이유를 얻는다. 그리고 꿈에서 깨기로 한다.

이승희는 “향단의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 ‘2020년 서울’로 데려오게 됐고, 그 시대 노동자였던 향단을 통해 이 시대의 노동을 이야기했다”고 설명했다. 소리를 받치는 장단도 춘향이 있는 시대엔 전통 고법으로, 향단이 꿈을 꿀 땐 베이스와 전자 키보드 등으로 구분돼 시대를 넘나드는 몰입감을 높였다. 다만 시대와 상황이 달라도 크게 다르지 않은 먹고살기 위한 치열한 현실이나 고민들은 어떤 반주에서든 뚜렷했다.

2017년 두산아트센터 아티스트로 선정된 이승희는 음악과 연극, 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국악창작자이기도 하다. 입과손스튜디오 멤버로 안데르센 동화시리즈와 ‘레미제라블’ 속 ‘팡틴’을 판소리로 재창작하기도 했다. 그는 “어떻게 하면 국악의 문턱을 낮출 수 있을까를 가장 많이 고민한다”면서 “판소리 다섯 바탕 안에도 무수히 많은 인물과 이야기가 숨어 있으니 앞으로도 다양하게 해석해 관객들과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 공연은 오는 25일까지 무료로 진행된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2020-09-21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