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측 “지금 특정정당 안간다…자연스레 연대 형성”

반기문 측 “지금 특정정당 안간다…자연스레 연대 형성”

입력 2017-01-12 10:09
업데이트 2017-01-12 1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상일 “새누리당·민주당에 들어갈 가능성은 없다”

오준 “潘 정치성향 ‘보수’ 아닌 것 같아…조카 기소엔 거듭 사과할 것”

이미지 확대
뉴욕 생활 청산하고 귀국길에 오르는 반기문
뉴욕 생활 청산하고 귀국길에 오르는 반기문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11일(현지시간) 오후 1시 미국 뉴욕 JFK공항을 출발해 인천국제공항으로 향하는 아시아나항공 비행기를 타고 있다. 반 전 총장은 공항에서 한국 언론과 간단한 인터뷰를 한 뒤 유순택 여사 등과 함께 비행기를 탔다. 연합뉴스


유력 대선 주자인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12일 귀국하고 나서 가까운 시일 내 특정 정당과 손을 잡지는 않을 것이라고 반 전 총장 측이 밝혔다.

반 전 총장의 ‘실무 준비팀’에 소속된 이상일 전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 나와 “반 전 총장이 특정 정당을 지금 선택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며 “주요 정치 지도자들이 계시는데, 당분간 그분들과 만나서 어떤 연대를 도모하는 것 같지도 않다”고 전망했다.

반 전 총장이 나중에 정당에 들어가더라도 “새누리당의 많은 분들이 이탈한 상황이기 때문에 새누리당 안에 들어갈 가능성은 높지 않다”며 “(반 전 총장) 맹비판을 많이 했기 때문에 더불어민주당에 들어가는 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전 의원은 “대선 출마선언을 한다면 본인이 생각하는 미래 비전, 구상, 철학이 일종의 공약으로 분명히 국민 앞에 제시되는 게 먼저”라며 “그걸 통해 서로 생각을 공유하는 분들과 정치적 연대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다만 “독자 창당을 하는 데는 쉽지 않은 문제들이 꽤 많이 있다”면서도 ‘반 전 총장을 중심으로 연대가 형성돼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그건 좀 오만한 생각이다. ‘내가 깃발을 꽂았으니 나를 중심으로 뭉치라’는 방식은 아니다”고 답했다.

반 전 총장이 귀국 이후 당분간 ‘민심 청취’ 행보를 하면서 공약을 가다듬고 대권 레이스에 나설 경우 기성 정치권과 연대를 모색하겠지만, 새누리당이나 민주당에 들어가는 방식은 선택하지 않으리라는 의미다.

이 전 의원은 “국민의당도 반 전 총장과 충분히 연대할 수 있다는 말씀도 하고 계시고, 바른정당 역시 마찬가지지 않느냐”며 새누리당과 민주당에서 갈라져 나온 이들 두 당에 대해선 가능성을 열어놨다.

반 전 총장의 동생 반기상 씨와 조카 반주현 씨가 뇌물 관련 혐의로 기소된 데 대해 이 전 의원은 “(반 전 총장이) 이유 여하를 불문하고 이런 일이 발생한 데 대해 국민께 송구스럽게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엔 사무총장으로서의 측근 관리는 국가 원수로서의 측근 관리와 단순 비교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죄송하다는 말씀을 하실 수밖에 없다”고 했다.

반 전 총장의 측근으로 꼽히는 오준 전 주(駐)유엔대사도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해 “(반 전 총장이) 이 문제가 처음 불거졌을 때 본인도 놀랐고 당혹스럽게 생각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회고했다.

오 전 대사는 “기소된 주현 씨 자신도 당시 ‘반 총장에게 뭘 요청하거나 그런 적이 없다’고 얘기했고, 반 전 총장 자신도 이 문제에 대해 알고 있었던 건 아니다”고 덧붙였다.

반 전 총장의 이념적 성향에 대해선 “유엔이 다루는 경제·사회 이슈들은 국내 정치적 관점에서 볼 때 중도쯤 된다. 유엔이 다루는 것은 잘 못사는 사람들, 개발도상국을 잘 살게 해주려는 노력, 탄압받고 소외당하는 사람들의 인권을 향상하려는 노력”이라며 “굳이 정치적 스펙트럼에서 보면 보수는 아닌 것 같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