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취임 첫해 국정지지율 68.5%로 마감[리얼미터]

문 대통령 취임 첫해 국정지지율 68.5%로 마감[리얼미터]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1-01 10:12
업데이트 2018-01-01 1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월간 지지율 5월 82.0%로 최고, 9월·10월 68.0%로 최저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이 70%에 근접한 68.5%로 취임 첫해를 마감했다.

1일 리얼미터가 CBS의 의뢰로 지난달 26~29일 전국 성인 2천7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 ±2.2%포인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해 ‘잘한다’고 평가한 응답자는 한 주 전보다 1.4%포인트(p) 내린 68.5%로 집계됐다.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0.1%p 하락한 25.0%로 나타났다.

문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은 제천 화재 참사의 책임 논란과 ‘임종석 비서실장 중동 특사 파견’ 논란 등이 확대된 주중 집계(12월 26~27일)에서 67.7%로 내렸다가 박근혜 정부의 ‘위안부 이면 합의’ 및 ‘개성공단 중단 구두지시’ 논란이 퍼진 지난달 28일에는 69.0%로 올랐다.

첫 번째 특별사면 단행과 2017년 10대 국정 발표가 있었던 지난달 29일에는 69.3%로 소폭 상승했다.

지역별로 보면 대전·충청·세종(68.9%·6.6%p↓), 대구·경북(50.6%·4.7%p↓), 광주·전라(81.2%·3.5%p↓), 경기·인천(71.2%·1.2%p↓)에서 내렸다.

연령별로는 30대(81.0%·5.2%p↓), 20대(77.4%·3.6%p↓), 40대(81.1%·1.6%p↓), 50대(60.5%·1.3%p↓) 순으로 하락 폭이 컸다.

한편 취임 첫해였던 지난해 문 대통령의 월간 지지율은 5월에 82.0%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각종 인사 및 안보 논란이 이어지면서 6월에는 75.8%로 떨어졌고, 7월(74.4%), 8월(72.7%)에도 하락세를 보였으나 70%대는 유지했다.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인 9월과 10월에는 각각 68.0%로 처음으로 60%대로 떨어지며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어 한미정상회담 등 각종 정상외교가 이어지고 한중 관계 회복 기대감이 커졌던 11월에는 71.2%로 다시 70%대를 회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의 지지율이 동반 하락했다.

민주당은 50.3%(1.7%p↓)의 지지율로 지난 2주 동안의 상승세가 멈췄으나 1위를 굳건히 지켰다.

한국당의 지지율은 1.0%p 내린 16.8%로 2주 연속 하락했다.

리얼미터는 “민주당은 제천 화재 참사 책임 논란과 ‘UAE 원전’ 의혹 논란 등으로, 한국당은 류여해 전 최고위원 제명 과정에서 여성 비하 논란, 인재영입 실패 논란 등으로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국민의당은 6.2%(1.3%p↑)로 지난 2주 동안 하락세를 마감하고 3위로 올라섰다.

국민의당의 지지율은 지난주 후반부터 통합 전(全) 당원 투표 ‘컨벤션 효과’가 일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정의당은 0.5%p 오른 5.7%로 2주 연속 상승했다.

바른정당은 5.6%(0.1%p↓)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자세한 조사내용은 리얼미터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