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귀국 정의용 곧장 청와대行…정상회담 가는길 ‘허들’ 제거 숙제 남북정상회담 준비위 주초 가동…통일부 등 외교·안보 부처 중심정의용·서훈 내일부터 中·日·러 릴레이 방문…4强 공감대 넓히기 주력문 대통령, 4强 정상 통화 추진…국제사회와 외교 소통 강화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라는 ‘세기의 외교 이벤트’를 앞두고 청와대가 11일 이 두 바퀴를 원활하게 구동하기 위한 후속조치에 착수했다.문재인 대통령
특히 문재인 대통령으로서는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싹튼 남북화해 기류를 4월 남북정상회담과 5월 북미정상회담으로 이끈 ‘중재역’을 이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이라는 큰 틀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지를 내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정부의 후속조치 노력 정도에 따라 정상회담이 성사되기까지의 숙성 과정은 물론 그 결과물도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극도로 면밀하고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
우선 문 대통령의 지시로 꾸려질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가 이번 주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을 위원장으로 한 준비위는 정상회담에서 남북관계 개선과 관련한 실질적인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사전 준비와 대북 협의를 담당한다. 청와대는 물론 외교·안보 부처를 중심으로 전 부처가 망라될 것으로 보이는 준비위는 회의 등을 통해 의제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준비위 구성이 완료되면 이번 주 첫 회의를 할 것으로 본다”며 “통일부가 실무 중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준비위에는 해당 부처 장관들도 대거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2박 4일간의 방미 일정을 마치고 이날 오후 귀국하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으로부터 방미 결과를 보고받는다.
일단 김 위원장의 제안을 트럼프 대통령이 받은 만큼 북미정상회담이 사실상 기정사실화하고 있다고 판단되지만, 실제 성사되기까지 난관이 곳곳에 도사릴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 않아 이에 대한 고민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정상회담 수용 직후 미국과 북한이 공개 메시지를 발신하면서 정상회담이라는 종착지 앞에 ‘허들’을 쌓는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9일(현시지간)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구체적 조치와 구체적 행동을 보지 않고는 (김 위원장과) 만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고, 북한 노동신문 역시 개인 필명 논평이긴 하지만 같은 날 “제재와 봉쇄 책동으로 우리나라를 고립 질식시켜 무력하게 만든 다음 쉽사리 타고 앉으려 하고 있다. 우리에겐 그 어떤 군사적 힘도, 제재와 봉쇄도 절대로 통하지 않는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따라서 문 대통령으로서는 북미 정상 간 대좌가 현실화할 때까지 계속될 북미 간 ‘기 싸움’을 적절히 관리하는 데 혼신을 쏟아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다.
이를 위해 문 대통령은 힘겹게 만든 ‘유리그릇’이 깨지지 않도록 미국과 북한과의 개별 소통을 이어갈 전망이다. 미국과는 굳건한 최고위급 상시소통 채널을 통해, 북한과는 단계별 소통 라인은 물론 이미 합의한 김 위원장과의 핫라인을 활용해 자칫 발생할 수 있는 북미 간 오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문 대통령은 2000년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정부에서 이를 주도했던 경험자를 중심으로 외교·안보 분야 전문가들을 잇달아 만나 조언을 구하는 작업을 병행할 것으로 점쳐진다.
한반도 주변 4강을 비롯한 국제사회와의 공감대도 넓혀갈 예정이다.
당장 정 실장은 12∼15일 중국과 러시아를 연쇄 방문해 방북 및 방미 결과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정 실장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직접 만나는 방안을 조율 중이다.
서 원장과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도 1박 2일 일정으로 12일 일본을 방문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만난다.
문 대통령은 미중일러 등 4강 정상과의 통화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이 일련의 정상회담 조율을 위해 관련국 정상들과 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4강 이외에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정이 성공할 수 있으려면 국제사회 전체의 협조가 필수적이라는 판단에 따라 주요 국가에 대한 외교적인 소통도 강화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