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여론조사] 멈춘 비핵화 협상… “北책임” 56.5% “美잘못” 54.8%

[새해 여론조사] 멈춘 비핵화 협상… “北책임” 56.5% “美잘못” 54.8%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20-01-01 01:32
업데이트 2020-01-01 05: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지정당별 갈려… 35.9% “한국 책임”

협상 최대 변수 “트럼프 재선” 31.4%
이미지 확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9일 평양에서 열린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5차 전원회의 이틀째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9일 평양에서 열린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5차 전원회의 이틀째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국민들은 북미 비핵화 협상을 결렬 위기로 몰고 간 책임이 북한과 미국 모두에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31일 서울신문 신년 여론조사 결과 ‘비핵화 협상 난관의 책임’을 묻는 질문(중복응답 허용)에 응답자의 56.5%가 북한, 54.8%는 미국을 꼽았다. 35.9%는 한국이라고 답했다.

미국 책임론은 40대(64.7%)와 50대(60.6%), 더불어민주당(71.3%)과 정의당(76.3%) 지지층, 호남(66.4%), 진보성향(66.9%)에서 두드러졌다. 반면 북한 책임론은 20대(67.5%)와 30대(65.8%), 60세 이상(49.7%), 자유한국당(52.3%)과 바른미래당(53.5%) 지지층, 보수성향(52%)에서 우세했다.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
‘북미 협상 재개 최대 변수’를 묻는 질문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선이라는 응답이 31.4%로 제일 높았고,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자제(25.2%), 더 강력한 대북 제재(22.4%), 한국의 촉진자 역할(12.7%)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당(39.3%)과 보수(33.1%)는 대북 제재가 강화돼야 협상이 재개될 수 있다고 봤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20-01-01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