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리 터너 美 북한인권특사 “北 주민 원하는 정보 얻을 수 있도록 힘써야”

줄리 터너 美 북한인권특사 “北 주민 원하는 정보 얻을 수 있도록 힘써야”

고혜지 기자
고혜지 기자
입력 2024-02-19 16:52
업데이트 2024-02-19 16: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터너, 북한 인권 보고서 발간 10주년 포럼 축사
“美, 생존자·탈북자 목소리 내도록 적극 지원”
탈북 청년, “북한 주민 인권 단어 알게 돼”


한국을 방문하고 있는 줄리 터너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19일 “북한 주민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힘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회 북한인권 서울프리덤포럼에서 증언자와 발언자들이 참석해 있다. 왼쪽부터 손혜영 나타샤인권협회 대표, 탈북민 구출 활동가 황지성씨, 박정오 탈북민 단체 큰샘 대표, 오은경 공군 사령부 교수, 북한 인권 활동가 김일혁씨 순. 연합뉴스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회 북한인권 서울프리덤포럼에서 증언자와 발언자들이 참석해 있다. 왼쪽부터 손혜영 나타샤인권협회 대표, 탈북민 구출 활동가 황지성씨, 박정오 탈북민 단체 큰샘 대표, 오은경 공군 사령부 교수, 북한 인권 활동가 김일혁씨 순. 연합뉴스
터너 특사는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미주 한인 단체 ‘원코리아네트워크’와 한미동맹USA재단이 주최한 제1회 서울프리덤포럼 영상 축사에서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가 북한 인권 보고서를 발간한 지 10년이 지났지만 북한 인권 상황은 아직도 세계 최악”이라면서 이렇게 말했다.

터너 특사는 “미국은 생존자들과 탈북민이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면서 “중국을 포함한 모든 유엔 회원국이 강제송환금지 원칙을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터너 특사는 올해 유엔 인권이사회, 안전보장이사회 등에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논의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취지로 말했다.

지난 2011년 탈북해 북한 인권 관련 활동을 해 온 김일혁(29)씨는 포럼에서 “국제사회가 북한 인권 문제를 공론화함으로써 북한 인권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면서 북한 인권에 대한 꾸준한 관심을 당부했다. 김씨는 “‘인권’이라는 단어조차 모르던 북한 주민들이 ‘인권 유린’이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다. 주민들이 부당한 일을 당했을 때 ‘인권 유린’이라는 말을 쓴다고 전해진다”라며 “국제사회의 노력은 북한 주민에게 한 줄기 희망이 되고, 살아남아야 할 이유가 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정오 탈북민 단체 ‘큰샘’ 대표는 “북한 주민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그들이 무엇을 갖지 못했으며 어떤 자유를 누리지 못하고 있는지를 알려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큰샘은 페트병에 쌀과 USB 등을 담아 서해를 통해 북한으로 보내는 활동을 하고 있다.

고혜지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