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거리 운전할 때는 멀미약 먹지 마세요

장거리 운전할 때는 멀미약 먹지 마세요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7-01-25 14:52
업데이트 2017-01-25 15: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식약처 “복용 시 졸음과 방향 감각 상실 가능성”

멀미약은 졸음과 방향 감각 상실을 일으킬 수 있어 설 연휴 장거리 운전을 하는 사람은 가급적 먹지 않는 게 좋다고 보건당국이 권고했다.

명절 귀성길 자료사진   손형준 기자 botagoo@seoul.co.kr
명절 귀성길 자료사진 손형준 기자 botagoo@seoul.co.kr
25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장거리 운전자는 졸음 등 부작용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멀미약을 먹지 않는 게 좋다. 멀미약이 필요한 동승자는 승차 30분 전에 복용하고, 추가로 약이 필요하면 최소 4시간이 지난 뒤 복용해야 한다. 붙이는 멀미약은 임신부나 녹내장 환자, 전립선 비대증 등 배뇨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사용하면 안 된다. 또 성인용과 어린이용은 용량이 달라 주의해야 한다.

관절이 삐어 부기가 올라오면 쿨파스로 차갑게 해주는 것이 좋고, 부기가 빠진 뒤에도 통증이 계속되면 핫파스로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 좋다.

운전 중 졸음을 피하려고 커피, 초콜릿 등 카페인이 함유된 제품을 마시기도 하는데 종합감기약에도 카페인이 함유된 경우가 많아 카페인 과량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감기약에 클로르페니라민 등 ‘항히스타민제’가 포함돼 있다면 졸릴 수 있어 운전 직전에는 피하는 것이 좋다. 감기로 열이 나면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이 들어있는 해열제를 사용하면 된다.

갑자기 의식을 잃은 환자가 생기면 즉시 119에 신고하고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 심폐소생술에 대해 잘 모르면 무리하게 인공호흡을 시도하지 말고 119 구조대가 올 때까지 가슴 압박만 강하고 빠르게 실시한다. 떡 등 음식물에 기도가 막히면 우선 기침을 하도록 한다. 기침을 못 하면 환자를 뒤에서 감싸듯 안은 뒤 한 손은 주먹을 쥐고 다른 손으로 주먹을 감싼 다음 환자 명치와 배꼽 중간 지점에 대고 위로 밀쳐 올리면 된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