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뒤 동거가 대세…고소득층일수록 ‘졸혼’

10년 뒤 동거가 대세…고소득층일수록 ‘졸혼’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7-01-25 22:06
업데이트 2017-01-25 23: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년 뒤에는 결혼보다 동거(사실혼)가 보편적으로 성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소득일수록 법적 혼인 관계를 유지한 채 부부가 각자 삶을 살아가는 ‘졸혼’(卒婚)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정보회사 듀오와 곽인철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가 공동 운영하는 듀오휴먼라이프는 미혼 남녀 1000명을 조사한 ‘혼인 이혼 인식 보고서’를 25일 발표했다.

‘10년 후 가장 보편적으로 성행할 혼인의 모습’으로 전체 응답자의 46.9%가 동거를 골랐다. 결혼이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는 응답은 33.9%였다. ‘졸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더니 남성은 38.5%, 여성은 40.0%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특히 고소득 집단일수록 졸혼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연소득 2000만원 미만의 경우 졸혼에 대한 평가가 남성 49.4점(100점 만점), 여성 50.5점인 반면 연소득 5000만원 이상에서는 각각 58.5점, 69점으로 나타났다.

‘이혼 결정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긍정적인 입장이 여성은 49.4%, 남성은 35.1%로 나타났다. ‘혹시 모를 이혼에 대비해 무엇을 하겠느냐’는 질문에 남성은 ‘준비하려는 게 없다’(25.5%)는 답이 1위였다. 여성은 ‘비자금 조성’(25.9%)이 1위를 차지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해 11월 10일부터 21일까지 전국 25세 이상 39세 이하 미혼 남성 502명, 여성 4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7-01-26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