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리스트’ 허현준 靑 행정관, ‘이유없이’ 특검 출석 거부

‘블랙리스트’ 허현준 靑 행정관, ‘이유없이’ 특검 출석 거부

입력 2017-01-26 15:11
업데이트 2017-01-26 16: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의혹과 관련해 26일 박영수 특별검사팀에 소환돼 조사를 받을 예정이었던 허현준 청와대 국민소통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이 특검에 출석하지 않았다.

특검 대변인인 이규철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원래 허현준 행정관은 문화계 지원 배제 명단(블랙리스트)과 관련해 조사하기로 했는데 출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특검보는 “(허 행정관이 특검 측과) 전화 통화를 하며 못 오겠다고 한 것 같다”고 부연했다.

참고인 신분으로 이날 오후 2시에 특검에 나올 예정이었던 허 행정관은 특별한 불출석 사유를 제시하지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허 행정관이 특검의 블랙리스트 의혹 수사에 협조하지 않기로 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허 행정관이 속한 청와대 정무수석실 산하 국민소통비서관실은 블랙리스트를 만든 장소로 의심되는 곳이다.

당초 특검은 허 행정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블랙리스트 작성·관리 실태 등을 조사할 계획이었지만, 그가 출석을 거부함에 따라 일단 조사를 미루고 다시 소환 일정을 잡기로 했다.

특검은 블랙리스트 의혹의 정점에 있는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21일 구속하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혐의를 부인해온 김 전 실장과 조 전 장관은 구속 이후에도 진술 태도에 별다른 변화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허현준 행정관은 2015년 한국자유총연맹을 비롯한 보수단체들이 국정교과서 지지 집회를 열도록 사주하고 박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에 자유총연맹 회원들을 동원했다는 의혹도 있다. 허 행정관과 자유총연맹 관계자가 주고받은 문자메시지에 이런 정황이 담긴 게 드러나기도 했다.

허 행정관은 작년에는 대한민국어버이연합을 부추겨 ‘관제 시위’를 하도록 한 혐의로 검찰에 고발돼 조사를 받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