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2014년 국장급 이상 공무원에게 지급…음성통화 암호화돼 도·감청 방지 가능

[단독] 2014년 국장급 이상 공무원에게 지급…음성통화 암호화돼 도·감청 방지 가능

김승훈 기자
입력 2017-01-31 22:54
업데이트 2017-02-01 09: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관·청장 ‘업무용 휴대전화’ 폐기] 업무용 휴대전화 ‘보안폰’은

“국정원서 보안폰 일괄 수거… 문제점 파악후 대책 마련을”

국가정보원과 안전행정부(현 행정자치부)는 2014년 정부부처 국장급 이상 고위 공무원들에게 보안이 강화된 업무용 휴대전화(보안폰)를 지급했다. 스마트폰 해킹 우려와 보안 강화 차원에서다.

보안폰은 2014년 이전엔 청와대 민정수석실이나 국정원 요원들이 주로 사용했는데, 그 범위를 확대한 것이다.

보안폰은 국정원에서 보안칩인 일명 ‘비화(秘話)칩’을 기기 내에 설치한 휴대전화로, ‘비화폰’으로도 불린다.

음성통화(디지털 신호)를 암호화해 기지국으로 보내고 다시 상대방의 휴대전화로 암호화된 음성신호를 보낸다. 신호가 암호화돼 있어 도·감청을 막을 수 있다.

삼성 휴대전화에 보안칩을 부착하기에 공직사회 내에선 ‘삼성폰’으로도 통한다.

정부 관계자는 31일 “말을 하면 휴대전화 중계기에서 일정 패턴의 숫자로 전송되는 일반 휴대전화와 달리 보안폰은 발화 순간부터 난수표로 전송돼 도·감청을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비화폰은 정보통신부가 1996년부터 개발에 착수, 2002년 개발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에도 삼성전자 휴대전화에 보안칩을 부착해 만든 것으로 전해졌다.

이미 업무용 휴대전화를 폐기한 기관장들의 새 휴대전화도 보안폰이다. 취재 과정에서 접한 기관장들은 보안폰 교체와 관련해 2014년 보안폰 지급 때와 같은 이유를 들었다. 스마트폰 해킹 우려와 보안 강화를 위해서라고 했다.

이에 대해 정부 고위 관계자는 “보안에 문제가 생겼다면 국정원이 보급한 보안폰이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는 것이고, 그렇다면 국장급 이상 고위공직자들의 보안폰을 모두 교체·폐기해야 하는데 기관장들 중심으로만 폐기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보안폰에 이상이 생겼다면 이를 공급한 국정원에서 직접 국장급 이상 고위 공직자들의 폰을 일괄적으로 수거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지적이 적지 않다. 개인적으로 폐기한다면 보안칩이 외부에 유출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그럼에도 장관·청장들이 개인적으로 보안폰을 폐기하거나 폐기할 계획을 세웠다는 건 ‘숨겨 놓은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증폭시킨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7-02-01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