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인년’ 호랑이 지명 전국 최다 지역은 전남도…74개 있다

‘임인년’ 호랑이 지명 전국 최다 지역은 전남도…74개 있다

최종필 기자
최종필 기자
입력 2022-01-03 13:48
업데이트 2022-01-03 1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전체 389개

2022년 임인년(壬寅年) 호랑이 해를 맞아 지역 지명을 조사한 결과 전남도가 호랑이 관련 지역이 총 74개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전체는 389개다. 그 뒤를 이어 경북 71개, 전북 52개, 경남 51개 순이다.

시군별로는 영암군이 산 모양이 호랑이처럼 생겼다는 뜻인 ‘호등산(虎嶝山)’을 비롯해 8개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여수 7개, 순천·나주·고흥·보성·신안 각각 6개 등이다. 종류별로는 마을이 50개(68%)로 가장 많고, 섬 16개(22%), 고개 2개(4%) 등의 순이었다.

호랑이 지명이 많은 이유는 선조들이 호랑이가 마을을 지키고 잡귀를 물리치는데 수문장 역할을 해주길 바라는 마음에서 ‘호암(虎岩)’, ‘호동(虎洞)’, ‘호덕(虎德)’, ‘호산(虎山)’ 등 호랑이의 형상을 인용한 지명이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

모양 관련 지명 중에 호랑이가 엎드려 있는 모습을 비유한 복(伏)자를 사용한 ‘복호’, ‘호복’, ‘복림’ 등 지명도 있다. 고흥 과역면의 ‘복호산(伏虎山)’은 달이 지고 날이 새므로, 호랑이가 가지 못하고 엎드려 있는 형국이라는 유래가 있다.

호랑이는 예로부터 진보, 독립, 용맹을 상징하고, 잡귀를 물리친다는 신성한 영물로 여겨졌다. 은혜를 갚을 줄 아는 의리 있는 동물이라는 이미지도 있다.

도 관계자는 “힘이 넘치고 용맹스럽다고 알려진 ‘호랑이의 해’를 맞아 코로나19가 종식되고 좋은 일만 생기길 기원한다”고 밝혔다.
무안 최종필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