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아시아나 그룹의 구조조정이 난항을 겪고 있다. 구조조정의 불씨가 된 대우건설 풋백옵션(주식을 되팔 수 있는 권리) 처리를 놓고 채권단 내 갈등이 불거지고 있다. 구조조정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과 자율협약이라는 두 갈래로 진행되고 있는 것도 이유 중 하나다.
금호아시아나 채권단은 19일 워크아웃 대상인 금호산업과 금호타이어에 대해 현장 실사를 시작했다. 자율협약 추진 대상인 금호석유화학과 아시아나항공에 대해서도 약식 실사작업에 착수했다.
그러나 재무적투자자(FI)를 워크아웃에 참여시킬지 여부를 놓고 채권단 내 의견이 엇갈리면서 금호산업 워크아웃과 대우건설 매각 작업의 지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당초 금호그룹의 주채권은행으로 대우건설 인수를 추진 중인 산업은행은 FI에 주당 1만 8000원에 보유 주식을 사줄 테니 워크아웃에 참여해 풋백옵션 행사가와의 차액만큼은 출자전환하거나 무담보채권으로 떠안으라는 방안을 제시했다.
반면 금호산업의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은 풋백옵션 행사가격(3만 1500원)과의 차액에 대해서는 대우건설 청산가치에 따라 매입해 주고 나머지는 탕감해 FI를 워크아웃에 참여시키지 않는 방안을 내놨다. 주식 투자자들인 FI를 채권은행처럼 워크아웃에 동참시켜 이들의 채권 회수율을 높여줄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산업은행은 FI에 20일까지 처리방안에 대한 의견을 내라고 요구했다.
시장에서는 FI 처리 문제가 조기에 해법을 찾지 못하면 금호산업의 워크아웃과 대우건설 매각 작업이 속도를 내지 못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채권단 관계자는 “FI와 합의가 늦어질수록 회사와 채권단 모두 손실”이라면서 “가급적 이달 내에 타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전문가들과 시장 관계자들은 금호그룹의 구조조정이 워크아웃과 자율협약이라는 이중 구조여서 워크아웃 자체가 삐걱거릴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지주회사 격인 금호석유가 워크아웃에서 제외돼 금호산업과 금호타이어의 워크아웃도 원활하게 이뤄지기 어렵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이 채권은행을 앞세운 채 뒷짐만 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나중에 책임공방에 휘말리지 않으려고 몸을 사리면서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에만 모든 책임을 떠넘기기고 있어 구조조정이 더뎌지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에 대해 “과거에는 대규모 공적자금을 은행에 투입해 당국이 직접 개입할 수 있지만 지금은 채권단에 손실을 볼 것을 강요할 수는 없다.”고 반박했다.
김민희기자 haru@seoul.co.kr
금호아시아나 채권단은 19일 워크아웃 대상인 금호산업과 금호타이어에 대해 현장 실사를 시작했다. 자율협약 추진 대상인 금호석유화학과 아시아나항공에 대해서도 약식 실사작업에 착수했다.
그러나 재무적투자자(FI)를 워크아웃에 참여시킬지 여부를 놓고 채권단 내 의견이 엇갈리면서 금호산업 워크아웃과 대우건설 매각 작업의 지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당초 금호그룹의 주채권은행으로 대우건설 인수를 추진 중인 산업은행은 FI에 주당 1만 8000원에 보유 주식을 사줄 테니 워크아웃에 참여해 풋백옵션 행사가와의 차액만큼은 출자전환하거나 무담보채권으로 떠안으라는 방안을 제시했다.
반면 금호산업의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은 풋백옵션 행사가격(3만 1500원)과의 차액에 대해서는 대우건설 청산가치에 따라 매입해 주고 나머지는 탕감해 FI를 워크아웃에 참여시키지 않는 방안을 내놨다. 주식 투자자들인 FI를 채권은행처럼 워크아웃에 동참시켜 이들의 채권 회수율을 높여줄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산업은행은 FI에 20일까지 처리방안에 대한 의견을 내라고 요구했다.
시장에서는 FI 처리 문제가 조기에 해법을 찾지 못하면 금호산업의 워크아웃과 대우건설 매각 작업이 속도를 내지 못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채권단 관계자는 “FI와 합의가 늦어질수록 회사와 채권단 모두 손실”이라면서 “가급적 이달 내에 타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전문가들과 시장 관계자들은 금호그룹의 구조조정이 워크아웃과 자율협약이라는 이중 구조여서 워크아웃 자체가 삐걱거릴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지주회사 격인 금호석유가 워크아웃에서 제외돼 금호산업과 금호타이어의 워크아웃도 원활하게 이뤄지기 어렵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이 채권은행을 앞세운 채 뒷짐만 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나중에 책임공방에 휘말리지 않으려고 몸을 사리면서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에만 모든 책임을 떠넘기기고 있어 구조조정이 더뎌지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에 대해 “과거에는 대규모 공적자금을 은행에 투입해 당국이 직접 개입할 수 있지만 지금은 채권단에 손실을 볼 것을 강요할 수는 없다.”고 반박했다.
김민희기자 haru@seoul.co.kr
2010-01-2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