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관리공사(이하 캠코)가 옛 ㈜대우의 구조조정에 나선 지 10년여 만에 대우인터내셔널[047050]을 팔아 1조7천억원의 공적자금을 회수한다.
이를 포함하면 정부가 대우에서 분할한 기업들의 구조조정으로 회수한 공적자금은 7조6천억원에 이른다.
30일 캠코에 따르면 포스코는 대우인터내셔널 지분 68%를 3조3천724억원에 인수한다.이는 2008년 국제 금융위기 이후 기업 인수.합병(M&A)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또 3조원이 넘는 대형 매물의 M&A에는 통상 1년 이상이 소요되는데 이번 대우인터내셔널은 매각 공고부터 계약 체결까지 7개월 만에 마무리됐다.
가격 부문에서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는 평가다.캠코는 대우인터내셔널 매각으로 1조7천579억원의 공적자금을 회수하게 됐다.공동매각협의회에 소속된 다른 8개 금융기관도 이번 매각 결과에 만족스러워 한다는 후문이다.
캠코는 2000~2002년 부실채권정리기금 2조9천억원을 투입해 금융기관들이 보유한 ㈜대우의 부실채권 13조6천500억원어치를 사들였다.
㈜대우는 2000년 말 신설회사인 대우건설(건설부문)과 대우인터내셔널(무역부문),㈜대우(잔존회사)로 분할됐다.
특히 캠코는 대우건설과 대우인터내셔널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과정에서 보유 채권을 출자전환해 해당 기업들의 최대주주로 등극했다.두 회사는 3년간의 구조조정을 거쳐 2003년 워크아웃을 졸업했다.
대우건설은 2006년 금호아시아나 컨소시엄에 매각됐다.대우인터내셔널은 이번에 포스코에 넘어감으로써 파산법인인 대우를 제외하고 대우에서 분할해 신설된 회사들은 모두 새 주인을 맞았다.
정부는 대우 분할 3사에 2조9천23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하고서 출자전환 주식 매각 등을 통해 7조6천억원을 회수해 261%의 회수율을 거뒀다.
캠코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다른 대형 M&A 추진이 보류된 상황에서 오히려 대우인터내셔널 매각을 추진한 것이 성공의 요인”이라며 “매도자와 매수자,매각 대상 회사 모두가 만족할 만한 거래였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를 포함하면 정부가 대우에서 분할한 기업들의 구조조정으로 회수한 공적자금은 7조6천억원에 이른다.
30일 캠코에 따르면 포스코는 대우인터내셔널 지분 68%를 3조3천724억원에 인수한다.이는 2008년 국제 금융위기 이후 기업 인수.합병(M&A)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또 3조원이 넘는 대형 매물의 M&A에는 통상 1년 이상이 소요되는데 이번 대우인터내셔널은 매각 공고부터 계약 체결까지 7개월 만에 마무리됐다.
가격 부문에서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는 평가다.캠코는 대우인터내셔널 매각으로 1조7천579억원의 공적자금을 회수하게 됐다.공동매각협의회에 소속된 다른 8개 금융기관도 이번 매각 결과에 만족스러워 한다는 후문이다.
캠코는 2000~2002년 부실채권정리기금 2조9천억원을 투입해 금융기관들이 보유한 ㈜대우의 부실채권 13조6천500억원어치를 사들였다.
㈜대우는 2000년 말 신설회사인 대우건설(건설부문)과 대우인터내셔널(무역부문),㈜대우(잔존회사)로 분할됐다.
특히 캠코는 대우건설과 대우인터내셔널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과정에서 보유 채권을 출자전환해 해당 기업들의 최대주주로 등극했다.두 회사는 3년간의 구조조정을 거쳐 2003년 워크아웃을 졸업했다.
대우건설은 2006년 금호아시아나 컨소시엄에 매각됐다.대우인터내셔널은 이번에 포스코에 넘어감으로써 파산법인인 대우를 제외하고 대우에서 분할해 신설된 회사들은 모두 새 주인을 맞았다.
정부는 대우 분할 3사에 2조9천23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하고서 출자전환 주식 매각 등을 통해 7조6천억원을 회수해 261%의 회수율을 거뒀다.
캠코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다른 대형 M&A 추진이 보류된 상황에서 오히려 대우인터내셔널 매각을 추진한 것이 성공의 요인”이라며 “매도자와 매수자,매각 대상 회사 모두가 만족할 만한 거래였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