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더블딥 공포… 신흥국 회복세 완연

선진국 더블딥 공포… 신흥국 회복세 완연

입력 2010-09-15 00:00
수정 2010-09-15 0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리먼 사태’ 2주년을 맞아 세계 경제는 양분화되는 분위기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들은 ‘더블딥(이중침체)’의 공포에서 좀처럼 헤어나지 못하는 반면 중국과 브라질 등 신흥시장(이머징 마켓)은 완연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리먼사태의 진원지인 미국은 리먼 파산 이후 8140억달러의 재정투입은 물론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장기 제로금리 정책 등 다양한 지원책을 쏟아냈다. 그럼에도 미 경제는 올 초까지 기나긴 침체의 터널을 빠져 나오는 듯싶더니 하반기부터 다시 주춤하는 모양새다. 일각에서는 위기극복 ‘2년차 증후군’을 앓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되살아나는 것처럼 보였던 민간 부문이 활기를 잃어가는 것도 걱정이다. 오바마 행정부는 다시 대규모 재정을 투입해 제2차 부양책을 내놓겠다고 밝혔지만 결과는 미지수다.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파생된 남유럽 재정위기는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진앙지 그리스는 유럽연합(EU)의 대규모 재정지원에도 불구하고 국가부도의 위험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유로존 (유로화 통용 16개국) 4위 경제 대국인 스페인마저 ‘잃어버린 10년’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어 당분간 유럽의 경제회복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반면 한국을 비롯한 중국과 인도, 브라질 등 신흥시장의 대표국가들은 경기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중국은 리먼사태 이후에도 8~9% 안팎의 고성장을 유지하며 아시아 지역의 경기회복을 견인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오일만기자 oilman@seoul.co.kr
2010-09-15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