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이 카메룬의 다이아몬드 개발권을 따냈다.
외교통상부는 17일 “카메룬 정부가 현지시간으로 16일 오후 한국 업체인 C&K마이닝에 카메룬 남동부 요카도마 지역의 다이아몬드 개발권을 부여했다.”고 밝혔다.
요카도마는 카메룬 수도인 야운데에서 동쪽으로 520㎞ 떨어져 있고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이며 다이아몬드 매장량은 최소 4억 2000만 캐럿으로 추정된다.
다이아몬드 개발권의 지분구조는 C&K마이닝이 65%, 카메룬 정부가 35%이고 C&K마이닝의 개발권 유효기간은 2035년까지 25년이다. 카메룬이 광물개발권을 외국업체에 준 것은 2003년 미국 기업에 이어 두번째이다.
C&K마이닝의 오덕균 대표는 2006년 카메룬 정부로부터 요카도마 지역의 다이아몬드 탐사권을 확보한 뒤 5년간 밀림에서 탐사작업을 해왔고 카메룬 국내법상 광물을 탐사하면 개발권까지 부여받는다고 외교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김상연기자 carlos@seoul.co.kr
외교통상부는 17일 “카메룬 정부가 현지시간으로 16일 오후 한국 업체인 C&K마이닝에 카메룬 남동부 요카도마 지역의 다이아몬드 개발권을 부여했다.”고 밝혔다.
요카도마는 카메룬 수도인 야운데에서 동쪽으로 520㎞ 떨어져 있고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이며 다이아몬드 매장량은 최소 4억 2000만 캐럿으로 추정된다.
다이아몬드 개발권의 지분구조는 C&K마이닝이 65%, 카메룬 정부가 35%이고 C&K마이닝의 개발권 유효기간은 2035년까지 25년이다. 카메룬이 광물개발권을 외국업체에 준 것은 2003년 미국 기업에 이어 두번째이다.
C&K마이닝의 오덕균 대표는 2006년 카메룬 정부로부터 요카도마 지역의 다이아몬드 탐사권을 확보한 뒤 5년간 밀림에서 탐사작업을 해왔고 카메룬 국내법상 광물을 탐사하면 개발권까지 부여받는다고 외교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김상연기자 carlos@seoul.co.kr
2010-12-1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