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와 액정표시장치(LCD)의 단가가 끝없이 하락하고 있다.
주력 메모리 반도체 제품의 경우 마지노선이라 불리던 ‘1달러’가 무너졌고, LCD 역시 세계 1, 2위를 다투는 국내 업체들까지 감산에 나서 수익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선진국 수요가 살아나는 내년 하반기는 돼야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들어설 전망이다.
22일 타이완 시장조사기관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의 주요 메모리 제품인 1기가비트(Gb) DDR3 D램의 이달 후반부(15~30일) 고정거래가격은 전반부(1~15일·1.09달러)보다 11.0% 하락한 0.97달러까지 떨어졌다.
DDR3 D램 가격이 1달러 밑으로 내려간 것은 역대 처음이다. 올해 최고치였던 지난 5월(2.72달러)에 비해서는 64%, 불과 3개월 전(1.97달러)과 비교해도 51%나 하락했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의 D램 개당 생산원가를 각각 0.8~1.0달러, 1.1~1.2달러 수준으로 보고 있다. 미국과 일본, 타이완 업체들은 1.4~2달러 정도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를 제외한 모든 업체들이 D램 라인에서 적자를 보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D램 가격은 올해 북미 지역과 유럽 등 선진국 시장의 PC 수요가 살아나지 않아 2분기(4~6월)부터 가격이 꾸준히 하락했다. 지난 10월부터 일본과 타이완 업체들이 감산을 결정했지만 일부 후발업체들이 고효율 공정을 구축해 물량을 쏟아내고 있어 앞으로 3~6개월 동안 1달러 선을 회복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서주일 KB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선진국들의 PC 수요가 살아날 것으로 예상되는 내년 2분기(4~6월)는 돼야 의미 있는 반전이 가능할 것”이라며 “다행히 국내 업체들은 원가경쟁력이 높아 당분간 감산에 나서지 않고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는 전략을 택할 것”으로 내다봤다.
LCD 업계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장원기 삼성전자 LCD사업부 사장은 최근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동반성장 간담회’에서 “현재 공장 가동률이 93~94% 수준”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2008년 5월 이후 한 차례도 감산하지 않았다. 지난달까지도 가동률 100%를 유지했다. 세계 2위인 LG디스플레이도 지난 8월부터 감산에 돌입한 상태다.
LCD 패널 주력 제품 가격은 지난 3월 이후 계속 하락해 18.5인치 모니터 패널 가격이 올 3월 84달러에서 이달 현재 54달러로 떨어졌다. LCD TV패널 가격도 3월 기준 442달러에서 348달러로 하락한 상태다.
세계 1,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 업체들까지 감산에 돌입한 것은 당초 예상과 달리 글로벌 경기침체의 여파로 선진국 평판 TV 수요가 살아나지 않고 있어서다. 올해 미국 LCD TV 출하량은 3190만대로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에 시달린 지난해보다 오히려 1.2%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LCD TV가 미국 시장에 보급되기 시작했던 2006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업계 관계자는 “TV 업체들이 경기 침체기에 가격을 낮추기보다 3D(입체영상) 기능 등 고부가가치 전략에 치중해 결과적으로 시장 수요를 견인하지 못했다.”면서 “선진국 시장에서 LCD 패널 판매가 회복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주력 메모리 반도체 제품의 경우 마지노선이라 불리던 ‘1달러’가 무너졌고, LCD 역시 세계 1, 2위를 다투는 국내 업체들까지 감산에 나서 수익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선진국 수요가 살아나는 내년 하반기는 돼야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들어설 전망이다.
DDR3 D램 가격이 1달러 밑으로 내려간 것은 역대 처음이다. 올해 최고치였던 지난 5월(2.72달러)에 비해서는 64%, 불과 3개월 전(1.97달러)과 비교해도 51%나 하락했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의 D램 개당 생산원가를 각각 0.8~1.0달러, 1.1~1.2달러 수준으로 보고 있다. 미국과 일본, 타이완 업체들은 1.4~2달러 정도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를 제외한 모든 업체들이 D램 라인에서 적자를 보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D램 가격은 올해 북미 지역과 유럽 등 선진국 시장의 PC 수요가 살아나지 않아 2분기(4~6월)부터 가격이 꾸준히 하락했다. 지난 10월부터 일본과 타이완 업체들이 감산을 결정했지만 일부 후발업체들이 고효율 공정을 구축해 물량을 쏟아내고 있어 앞으로 3~6개월 동안 1달러 선을 회복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서주일 KB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선진국들의 PC 수요가 살아날 것으로 예상되는 내년 2분기(4~6월)는 돼야 의미 있는 반전이 가능할 것”이라며 “다행히 국내 업체들은 원가경쟁력이 높아 당분간 감산에 나서지 않고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는 전략을 택할 것”으로 내다봤다.
LCD 업계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장원기 삼성전자 LCD사업부 사장은 최근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동반성장 간담회’에서 “현재 공장 가동률이 93~94% 수준”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2008년 5월 이후 한 차례도 감산하지 않았다. 지난달까지도 가동률 100%를 유지했다. 세계 2위인 LG디스플레이도 지난 8월부터 감산에 돌입한 상태다.
LCD 패널 주력 제품 가격은 지난 3월 이후 계속 하락해 18.5인치 모니터 패널 가격이 올 3월 84달러에서 이달 현재 54달러로 떨어졌다. LCD TV패널 가격도 3월 기준 442달러에서 348달러로 하락한 상태다.
세계 1,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 업체들까지 감산에 돌입한 것은 당초 예상과 달리 글로벌 경기침체의 여파로 선진국 평판 TV 수요가 살아나지 않고 있어서다. 올해 미국 LCD TV 출하량은 3190만대로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에 시달린 지난해보다 오히려 1.2%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LCD TV가 미국 시장에 보급되기 시작했던 2006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업계 관계자는 “TV 업체들이 경기 침체기에 가격을 낮추기보다 3D(입체영상) 기능 등 고부가가치 전략에 치중해 결과적으로 시장 수요를 견인하지 못했다.”면서 “선진국 시장에서 LCD 패널 판매가 회복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0-12-2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