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6% “결혼 안 해도 남녀 동거할 수 있다”

국민 46% “결혼 안 해도 남녀 동거할 수 있다”

입력 2014-02-03 00:00
수정 2014-02-03 09: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1% “자녀 있어도 이혼 가능”…보건사회硏 조사

우리나라 국민 절반 정도는 결혼을 굳이 전제하지 않고도 남·여가 함께 사는 것에 큰 거부감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10명 가운데 4명은 자녀가 있더라도 이혼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등 결혼·이혼·가족·자녀 등과 관련, 과거에 비해 유연한 가치관과 태도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가구·가족의 변동과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7~8월 전국 20~65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가족 가치관 인식 및 태도 조사’를 진행한 결과, 46.1%가 “결혼하지 않아도 남녀가 함께 살 수 있다”고 답했다.

전체적으로는 동거에 반대하는 비율(53.6%)이 다소 높았지만, 20대와 30대에서는 동거 찬성률이 각각 53.1%, 59.2%로 반을 넘었다. 반면 50대와 60대에서는 각각 63.1%, 69.1%가 동거에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성별로는 남성(50.6%)이 여성(41.5%)보다 혼전 동거에 더 개방적이었다.

같은 맥락에서 결혼을 인생에서 ‘꼭 해야하는’ 필수 과정으로 여기는 사람도 4명 중 1명 정도에 불과했다. 결혼의 당위성을 묻자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괜찮다”며 결혼을 ‘선택’의 문제로 정의한 사람이 35.5%로 가장 많았다. “반드시 해야한다”는 견해는 25.6% 뿐이었고, 34.6%는 “하는 것이 좋다”고 답했다.

특히 이 문항에서 남녀간 의견 차이가 두드러졌는데,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답한 여성 비율(44.4%)이 남성(26.8%)보다 약 18%포인트(p)나 높았다. 반대로 “반드시 결혼 해야한다”는 생각은 여성(19.4%)보다 남성(31.7%)에서 더 뚜렷했다.

’자녀가 있어도 이혼할 수 있나’라는 질문에 조사 대상자의 41.4%가 찬성, 57.6%가 반대했다. 찬성률은 여성(47.6%)이 남성(35.3%)보다 높았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녀를 둔 상태로 이혼하는데 부정적 견해가 많았다. 60대에서는 반대 비율이 73.5%에 이르는데 비해 20대에서는 반이 약간 넘는 53.2%에 머물렀다.

’부모는 자녀를 언제까지 책임져야하는지’ 묻자 가장 많은 37.9%가 ‘대학교 졸업까지’를 한계로 규정했다. 이어 ‘결혼할 때까지(19.3%)’, ‘고등학교 졸업까지(17.6%)’, ‘취업할 때까지(12.0%)’ 등의 순이었다.

반대로 노부모에 대한 성인 자녀의 책임 수준은 ‘노부모가 원할 경우(31.9%)’, ‘건강하지 않은 경우(27.0%)’, ‘경제적 능력이 없을 때(21.9%)’, ‘노부모 능력과 상관없이 무엇이든(16.8%)’ 등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부부보다 부모-자녀 관계가 중요하다’는 견해에는 10명 중 7명(67.7%)이 동의하지 않았다.

보건사회연구원은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 사회에서 가족 규모 축소, 단순한 세대 구성, 1인 가구 증가, 가족 돌봄 기능 약화 등의 변화가 계속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다. 따라서 다양한 가족 유형에 대응할 수 있는 법·제도 정비, 지역사회 중심의 노인 부양 네트워크 확충 등을 준비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