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최고 주당 아니다” 주류업계 외신보도에 발끈

“한국인 최고 주당 아니다” 주류업계 외신보도에 발끈

입력 2014-02-11 00:00
수정 2014-02-11 02: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주·위스키 알코올 함량 큰 차 잔 크기 등 통계 자체가 잘못”

폭탄주를 마시고 회식이 잦은 한국인의 음주량은 얼마나 될까. 얼마 전 세계 최고의 주당은 한국인이라는 외신 보도가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뜨겁게 달궜다. 미국의 인터넷 매체 쿼츠는 지난 2일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를 인용해 한국인은 일주일에 평균 13.7잔의 독한 술을 마신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보드카로 유명한 러시아(6.3잔)나 미국(3.3잔)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음주량이라면서 한국의 음주 폭력 문화가 과음의 사회적 문제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국내 주류업계는 “통계 자체가 잘못된 오보”라며 발끈했다. 한 주류업체는 해당 기사를 인용한 국내 신문사 기자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돌려 해명하기도 했다. 10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유로모니터는 맥주, 와인, 증류주 등 주종에 따른 국가별 음주량을 조사했지만 쿼츠는 증류주 소비량만 따로 떼 인용했다. 그것도 일주일에 평균적으로 마신 술의 잔 수로 음주량을 측정했다.

증류주는 소주, 위스키, 보드카 등에 국한되기 때문에 대중적인 주류인 맥주나 과실주 등의 소비량과 비교할 수 없는 한계가 따른다. 같은 증류주여도 알코올 함량은 제각각이다. 소주는 알코올 도수가 20도이며 위스키는 40도 이상이다. 보드카 중에는 70도가 넘는 독주도 있다. 20도짜리 소주는 알코올 농도 20%짜리 소주를 의미한다. 이 소주의 용량이 100㎖라면 20㎖가 알코올이고 80㎖는 물이다. 술을 마시는 잔의 크기도 다르다. 소주잔은 위스키나 데킬라잔보다 작은 편이다.

음주량을 정확히 측정하려면 주종의 알코올 함량을 평균화한 뒤 섭취한 순수 알코올의 양을 따지는 게 합리적이다. 해마다 건강보건지표(헬스데이터)를 발표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34개 회원국으로부터 ‘15세 이상 인구의 1인당 연간 주류 소비량’ 자료를 수집한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연 주류 소비량은 8.9ℓ로 OECD 평균(9.4ℓ)에 못 미쳤다. 1990년과 비교하면 2.2% 감소했다. 식사에 와인이 빠지지 않는 프랑스의 주류 소비량이 12.6ℓ로 OECD 국가 중 1위였다. 맥주를 물처럼 마시는 독일(11.7ℓ)과 영국(10.0ℓ)이 뒤를 이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4-02-1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