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고용동향 발표
경기 회복세가 확대되는 가운데 설 명절 등 특수 요인까지 겹치면서 올해 1월 취업자 수가 약 12년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청년(15~29세) 실업률은 더 높아졌고, 주당 36시간 미만 취업자 수가 역대 최고치(매해 1월 기준)를 기록했다. 취약계층 일자리 증가와 일자리의 질 향상을 위한 정부의 정책이 지속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용률도 58.5%로 지난해 1월보다 1.1% 포인트 증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고용률(15~64세)은 64.3%로 1.3% 포인트 상승했다. 고용률 상승폭도 2002년 3월(1.4% 포인트) 이후 최대치다.
성별 고용률은 남자 70.2%, 여자 47.4%로 지난해 1월보다 각각 1.1% 포인트씩 높아졌다. 연령별 취업자 수는 20대가 지난해 1월보다 8만명이 늘어 다섯 달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50대는 32만명, 60세 이상은 21만명 늘었다.
임금근로자는 1825만 6000명으로 1년 전보다 67만 5000명(3.8%) 늘었다. 상용근로자가 66만명(5.8%)으로 가장 크게 늘었고, 일용근로자는 5만명(3.4%) 증가했다. 반면 임시근로자는 3만 5000명(-0.7%) 줄었다.
하지만 실업률은 3.5%로 지난해 1월보다 0.1% 포인트 상승했고, 실업자 수도 89만 1000명으로 4만 4000명 늘었다. 특히 청년층 실업률은 8.7%로 지난해 2월(9.1%) 이후 11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지난달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356만 8000명으로 매해 1월을 비교할 때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부의 시간제일자리 정책과 함께 포근한 겨울이 지속되면서 건설업 및 농림업 단기 일자리가 늘어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통계청 관계자는 “조사를 실시한 1월 12~18일이 설 2주 전이어서 근무시간을 줄인 이들도 다소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자영업자도 12개월째 감소하다가 이번에 다시 미미하게나마 증가세로 돌아섰다. 고용 훈풍 가운데 청년취업, 단시간 근로 증가 등 ‘암초’들이 숨어 있는 셈이다.
세종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4-02-1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