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한국=안전투자처’ 단정은 어렵다”

김중수 “‘한국=안전투자처’ 단정은 어렵다”

입력 2014-02-13 00:00
수정 2014-02-13 14: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취약성 낮다’ 美연준 평가에 자만하지 않아”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한국이 다른 신흥 경제권과 차별화는 됐지만 국제 금융시장에서 안전 투자처를 일컫는 ‘세이프 헤븐’(Safe heaven)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13일 밝혔다.

기준금리 동결 질문 답하는 김중수 총재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오전 서울 중구 남대문로 한국은행 본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기준금리 동결 등에 관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이날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본회의를 열고 연 2.50%인 기준금리를  현행 수준에서 유지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기준금리 동결 질문 답하는 김중수 총재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오전 서울 중구 남대문로 한국은행 본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기준금리 동결 등에 관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이날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본회의를 열고 연 2.50%인 기준금리를 현행 수준에서 유지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한국을 취약성이 낮은 나라로 평가한 데 대해서도 자만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김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한국이 안전투자처냐는 질문에 “한국이 다른 신흥국과 여러 면에서 차별화됐다고 인식하지만 모든 면에서 차별화된다고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며 이렇게 말했다.

김 총재는 신흥국 시장의 불안 우려에 대해서는 “시간이 갈수록 불확실성이 줄 것”이라며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는 예견돼온 일이기에 어느 정도 대처할 능력이 생길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이달 하순 열릴 주요 20개국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테이퍼링에 대한 국제 공조가 논의될지에 대해서는 정보 공유는 충분히 이뤄지겠지만 “2010년 때처럼 그룹을 나눠 접근할 가능성은 없지 않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연준이 미국 의회에 제출한 ‘금융정책 보고서’에서 15개 신흥경제국(EME·Emerging Market Economies) 가운데 한국을 대만과 함께 취약성이 가장 낮은 나라로 평가한 것과 관련해서는 “’괜찮겠지’라고 생각하고 자만하는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김 총재는 최근 위안화 예금의 급증세와 관련, “신용위험이나 외채 증가 위험 등 우려의 대상으로 보지는 않는다”며 “오히려 국내에 달러가 풍부한 만큼 이를 적절히 활용하는 계기”라고 평가했다.

김 총재는 “정책금리가 변하지 않는 것은 글로벌 금융상황이 불안해도 우리 경제가 안정적이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기에 매우 중요한 결정”이라며 “금융은 안정이 우선이다”라고도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