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주가 수준, 세계적 인터넷업체 중 3위

네이버 주가 수준, 세계적 인터넷업체 중 3위

입력 2014-04-14 00:00
수정 2014-04-14 07: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페이스북이나 텐센트보다 많이 오르고 적게 내려

한국 인터넷 대표주 NAVER의 주가 가치평가(밸류에이션) 수준이 세계적 인터넷업체 중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핵심 성장동력인 모바일 메신저 시장을 놓고 직접 경쟁하는 페이스북·중국 텐센트(텅쉰·騰訊)보다 네이버 주가의 그간 주가 상승폭은 더 큰 반면 최근 하락폭은 더 작았다.

14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네이버의 12개월 예상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은 41.05배로 집계됐다.

이는 시가총액 기준으로 세계 500대 기업에 속하는 인터넷기업 10개 가운데 세 번째로 높은 것이다.

가장 PER이 높은 인터넷기업은 76.12배를 기록한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다.

이어 최근 190억 달러(약 20조원)에 와츠앱을 인수해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 뛰어든 페이스북이 46.42배의 두 번째로 높은 PER을 보였다.

네이버 라인과 중국·아시아의 모바일 메신저 시장을 놓고 치열히 경쟁하는 위챗의 모기업인 텐센트의 PER는 34.17배로 네이버에 이어 네 번째였다.

세계 최대 인터넷기업인 구글의 PER은 19.87배로 네이버의 절반에 못 미쳤다.

네이버 주가는 NHN엔터테인먼트와 기업 분할을 거친 뒤 지난해 9월 초부터 지난달 초 고점까지 약 90.8% 치솟았다.

그러나 최근 나스닥 기술주들의 주가가 거품 논란에 휩싸여 추락하면서 네이버 주가도 고점에서 11일 현재까지 13.1% 떨어졌다.

같은 기간 페이스북 주가는 고점까지 74.4% 뛰어올랐다가 18.7% 급락했고 텐센트는 74.6% 상승했다가 17.3% 하락해 이들보다 네이버가 더 많이 올랐다가 더 적게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 주가는 이 기간 44.1% 상승했다가 11.9% 내려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적었다.

한편 미국 나스닥 인터넷기업들의 주가를 나타내는 나스닥 인터넷지수의 평균 PER은 29.01배를 나타냈다.

또한 네이버 등 아시아태평양(AP) 지역의 인터넷기업들 주가를 보여주는 블룸버그 아태 인터넷지수의 평균 PER은 27.06배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