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소공로(회현동 1가)에 위치한 우리은행 은행사박물관에는 오늘날 우리은행의 전신이자 1899년 당시 대한제국 관료들과 실업가들의 민족 자본으로 설립된 ‘대한천일은행’의 역사적 기록물들이 보관돼 있다.
이 중 ‘대한천일은행 무정기임금총부’라는 장부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전차(電車)를 운행했던 미국 사업가 헨리 콜브란의 한자식 이름 ‘고불안’(高佛安)과 그의 계좌 정보가 기입돼 있다. 이를 비롯해 은행사박물관은 대한천일은행 창립 청원서 및 인가서, 정관 등 창립 관련 기록물 18점과 회계 관련 기록물 57점을 소장하고 있다.
국가기록원은 민간 기록물인 대한천일은행 관련 기록물 75점이 한국 금융사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 국가지정기록물로 새로 지정했다고 29일 밝혔다. 대한천일은행 회계 장부는 서양의 복식부기보다 200여년 앞선 기법으로 평가받고 있는 ‘송도사개치부법’(고려시대에 개성상인들이 주로 사용했던 우리 고유의 회계 처리법)으로 작성됐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이 중 ‘대한천일은행 무정기임금총부’라는 장부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전차(電車)를 운행했던 미국 사업가 헨리 콜브란의 한자식 이름 ‘고불안’(高佛安)과 그의 계좌 정보가 기입돼 있다. 이를 비롯해 은행사박물관은 대한천일은행 창립 청원서 및 인가서, 정관 등 창립 관련 기록물 18점과 회계 관련 기록물 57점을 소장하고 있다.
국가기록원은 민간 기록물인 대한천일은행 관련 기록물 75점이 한국 금융사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 국가지정기록물로 새로 지정했다고 29일 밝혔다. 대한천일은행 회계 장부는 서양의 복식부기보다 200여년 앞선 기법으로 평가받고 있는 ‘송도사개치부법’(고려시대에 개성상인들이 주로 사용했던 우리 고유의 회계 처리법)으로 작성됐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4-06-3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