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최근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지난 5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원화대출채권 잔액은 1천200조원으로 전월말보다 8조8천억원(0.7%) 증가했다.
대기업 대출과 가계 대출은 179조8천억원과 484조1천억원으로 전월보다 각각 2조9천억원과 2조원이 늘었다. 중소기업 대출은 506조7천억원으로 3조7천억원 상승했다.
5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98%로 전월말(0.91%) 대비 0.07% 포인트 올랐다. 연체율 상승은 월중 신규 연체액 발생액(1조9천억원) 때문이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1.17%, 가계대출은 0.74%로 전월말 대비 각각 0.10%와 0.05% 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연체율은 전년 동월 대비 낮은 수준을 지속하는 등 개선 추세 범위에 있다”면서 “내수 경기 침체, 중소기업대출 신규 연체 증가 등 부정적인 요인도 있어 취약 부문 부실화 가능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지난 5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원화대출채권 잔액은 1천200조원으로 전월말보다 8조8천억원(0.7%) 증가했다.
대기업 대출과 가계 대출은 179조8천억원과 484조1천억원으로 전월보다 각각 2조9천억원과 2조원이 늘었다. 중소기업 대출은 506조7천억원으로 3조7천억원 상승했다.
5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98%로 전월말(0.91%) 대비 0.07% 포인트 올랐다. 연체율 상승은 월중 신규 연체액 발생액(1조9천억원) 때문이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1.17%, 가계대출은 0.74%로 전월말 대비 각각 0.10%와 0.05% 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연체율은 전년 동월 대비 낮은 수준을 지속하는 등 개선 추세 범위에 있다”면서 “내수 경기 침체, 중소기업대출 신규 연체 증가 등 부정적인 요인도 있어 취약 부문 부실화 가능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