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시흥에 있는 금형(金型) 업체인 D사는 지난달 일본 수출 단가를 하향 조정했다.
제조 원가와 금융 비용을 고려하면 이윤이 거의 남지 않는 ‘출혈 수출’에 가깝다. 엔저가 지속되면서 일본 내 금형 업체와 가격 경쟁에서 밀렸기 때문이다.
이 업체 관계자는 “울며 겨자 먹기로 수출 단가를 낮출 수밖에 없었다”면서 “환율이 어떻게 될지 한 치 앞도 모르겠지만 일본 원청업체와 거래선은 어떻게든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민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엔화 약세를 등에 업은 일본 금형 업체가 미국과 유럽 등 해외 시장에서도 단가를 낮출 조짐을 보이기 때문이다.
5일 중소기업계에 따르면 최근 달러 강세와 엔화 약세가 이어지면서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엔저 수준은 이미 ‘마지노선’을 뚫고 내려갔다.
지난달 22∼30일 중소기업중앙회 조사에 따르면 수출 중소기업 75개가 꼽은 손익분기점 환율은 100엔당 1014.15원이다.
그러나 당시 환율은 950원대까지 떨어지며 업계가 지목한 하한선 밑으로 내려갔다.
요동치는 환율 탓에 중소기업은 직격탄을 맞았다. 대기업에 비해 자금력이나 정보력이 취약해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미국 등에 의료기기를 수출하는 S사 관계자는 “예상했던 것보다 달러당 환율이 더 떨어져 환차손이 커졌다”면서 “환변동 보험에 가입하지 않아 뒤늦게 정보를 알아보고 있지만 뾰족한 수가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중기중앙회가 조사한 75개 중소기업 가운데 환율 하락으로 수익성이 악화했다고 답한 비율은 무려 69.3%에 달했다.
특히 일본 제품과 경쟁하는 자동차 부품, 전자 제품, 철강 등 부문에서는 수익성이 악화했다는 응답 비율이 100%였다.
장기적 관점에서도 아시아 의존도가 높은 국내 중소기업의 수출이 엔저 효과를 등에 업은 일본업체에 밀릴 공산이 크다.
환율 하락이 원자재나 부품의 수입 단가를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는 분석도 중소기업에는 ‘먼 얘기’다.
중소기업의 수입유발계수(최종 수출품 대비 원자재나 부품의 수입액)는 0.47로 대기업(0.54)보다 낮아 수입 단가 하락에 따른 상쇄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다.
중소기업계는 환리스크 대응책으로 원가절감(60%), 수출단가 조정(53.3%), 대금 결제일 조정(14.7%) 등을 꼽았다. 반면 환리스크 관리를 하지 않는다는 기업도 20%나 됐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환변동 보험이 필요한 줄 알면서도 ‘키코 사태’의 트라우마 때문에 가입을 꺼리는 기업이 여전히 많다”면서 “원가 절감, 수출단가 조정도 결국은 중소기업이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는 자구책일 뿐”이라고 말했다.
정부 대책으로는 ‘안정적인 환율 운용’을 꼽은 중소기업이 86.7%에 달했고, 무역 금융·보증 지원 확대(78.7%), 환변동보험 확대(17.3%), 환관리 전문인력 지원(4%) 등이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연구원 홍성철 전문위원은 “정책 당국은 수출 중소기업에 대해 환위험 관리 지원을 강화하고, 지나친 환율 쏠림 현상을 막기 위해 체계적인 시장 모니터링을 하는 게 필요하다”면서 “중소기업도 환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장기적으로 비(非)가격 경쟁력을 키우고 해외 시장을 다변화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제조 원가와 금융 비용을 고려하면 이윤이 거의 남지 않는 ‘출혈 수출’에 가깝다. 엔저가 지속되면서 일본 내 금형 업체와 가격 경쟁에서 밀렸기 때문이다.
이 업체 관계자는 “울며 겨자 먹기로 수출 단가를 낮출 수밖에 없었다”면서 “환율이 어떻게 될지 한 치 앞도 모르겠지만 일본 원청업체와 거래선은 어떻게든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민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엔화 약세를 등에 업은 일본 금형 업체가 미국과 유럽 등 해외 시장에서도 단가를 낮출 조짐을 보이기 때문이다.
5일 중소기업계에 따르면 최근 달러 강세와 엔화 약세가 이어지면서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엔저 수준은 이미 ‘마지노선’을 뚫고 내려갔다.
지난달 22∼30일 중소기업중앙회 조사에 따르면 수출 중소기업 75개가 꼽은 손익분기점 환율은 100엔당 1014.15원이다.
그러나 당시 환율은 950원대까지 떨어지며 업계가 지목한 하한선 밑으로 내려갔다.
요동치는 환율 탓에 중소기업은 직격탄을 맞았다. 대기업에 비해 자금력이나 정보력이 취약해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미국 등에 의료기기를 수출하는 S사 관계자는 “예상했던 것보다 달러당 환율이 더 떨어져 환차손이 커졌다”면서 “환변동 보험에 가입하지 않아 뒤늦게 정보를 알아보고 있지만 뾰족한 수가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중기중앙회가 조사한 75개 중소기업 가운데 환율 하락으로 수익성이 악화했다고 답한 비율은 무려 69.3%에 달했다.
특히 일본 제품과 경쟁하는 자동차 부품, 전자 제품, 철강 등 부문에서는 수익성이 악화했다는 응답 비율이 100%였다.
장기적 관점에서도 아시아 의존도가 높은 국내 중소기업의 수출이 엔저 효과를 등에 업은 일본업체에 밀릴 공산이 크다.
환율 하락이 원자재나 부품의 수입 단가를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는 분석도 중소기업에는 ‘먼 얘기’다.
중소기업의 수입유발계수(최종 수출품 대비 원자재나 부품의 수입액)는 0.47로 대기업(0.54)보다 낮아 수입 단가 하락에 따른 상쇄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다.
중소기업계는 환리스크 대응책으로 원가절감(60%), 수출단가 조정(53.3%), 대금 결제일 조정(14.7%) 등을 꼽았다. 반면 환리스크 관리를 하지 않는다는 기업도 20%나 됐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환변동 보험이 필요한 줄 알면서도 ‘키코 사태’의 트라우마 때문에 가입을 꺼리는 기업이 여전히 많다”면서 “원가 절감, 수출단가 조정도 결국은 중소기업이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는 자구책일 뿐”이라고 말했다.
정부 대책으로는 ‘안정적인 환율 운용’을 꼽은 중소기업이 86.7%에 달했고, 무역 금융·보증 지원 확대(78.7%), 환변동보험 확대(17.3%), 환관리 전문인력 지원(4%) 등이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연구원 홍성철 전문위원은 “정책 당국은 수출 중소기업에 대해 환위험 관리 지원을 강화하고, 지나친 환율 쏠림 현상을 막기 위해 체계적인 시장 모니터링을 하는 게 필요하다”면서 “중소기업도 환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장기적으로 비(非)가격 경쟁력을 키우고 해외 시장을 다변화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