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상의 시정요구 성매매·차별·비하관련 급증”

“인터넷상의 시정요구 성매매·차별·비하관련 급증”

입력 2014-10-14 00:00
수정 2014-10-14 11: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인터넷상 불법·유해정보에 대한 시정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그 중에서도 성매매·음란과 차별·비하에 대한 요구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방통심의위가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최민희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 가장 많은 시정 요구를 받은 것은 도박이었지만 증가율로는 차별·비하가 317% 상승해 1위를 기록했다.

2012년부터 올해 9월까지 인터넷상에서 방통심의위가 가장 많은 시정요구를 내린 것은 도박으로 9만4천953건 이었다.그 뒤를 이어 성매매·음란(8만2천996건), 불법 식·의약품(5만8천563건), 권리침해(6천41건), 문서위조(4천952건) 순이었다.

성매매·음란 정보는 2012년 1만4천85건이었으나, 2013년 130% 증가한 3만2천330건이었다. 또 차별·비하는 2012년 149건에서 2013년 317% 증가한 622건을 기록했다.

2013년과 2014년 8월까지 방통심의위에 제재조치를 많이 받은 사이트 1위는 다음으로 1만3천76건이었다. 그 뒤를 이어 2위는 네이버 1만2천31건, 3위는 트위터 1만1천178건 순이었다.

특히 트위터는 2013년 3천998건의 시정요구를 받았으나 올해 8월까지 크게 증가한 7천180건을 받아 증가율로는 1위를 차지했다.

또 일베는 2013년에는 869건의 시정요구를 받아 954건의 시정요구를 받은 디시인사이드보다 뒤진 6위였으나 올해는 875건으로 급증해 디시인사이드보다 2배 가까이 많은 시정요구를 받았다.

2012년부터 2014년 8월까지 방통심의위가 시정조치를 많이 내린 네이버, 다음, 트위터 등 상위 7개 사이트를 분석한 결과, 모든 사이트에서 성매매·음란이 시정요구를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자수 대비 시정요구 비율을 분석한 결과, 일베는 방문자 수가 포털 사이트의 1/10에 불과하지만 어깨를 나란히 했다.

일베는 2013년 방문자수 대비 시정요구 비율은 0.81%로 오히려 네이버(0.79%)와 다음(0.79%)보다 높았다.

최민희 의원은 “국민 모두가 많이 이용하는 포털에서 불법·유해정보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이러한 정보가 어린이나 청소년들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라며 “방통심의위는 도박, 성매매·음란, 불법의약품 인터넷 정보에 대해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