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國 역내 무역비중 50% 이상…채권 투자비중은 13% “일부 국가 금융불안의 역내 확산 막아야…규제체계 확충 필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3일 “아시아 각국이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해 역내 금융통합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이 총재는 이날 한은과 국제통화기금(IMF)이 공동으로 개최한 ‘아시아 금융의 미래’ 콘퍼런스 개회사에서 “변동성 확대 위험이 적지 않은 현재 국제금융시장의 상황이 아시아 신흥국에 있어서는 큰 도전이자 기회”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아시아 지역 내 금융·외환시장의 불안정을 확대시킨 요인으로 역외 금융시장에 대한 높은 의존도와 금융부분의 미흡한 발전을 꼽았다.
아시아 경제가 세계 경제의 주요 중심축으로 부상하기까지 역내 국가 간 긴밀한 무역이 큰 역할을 했는데, 금융부분 통합은 저조하다는 것이다. 아시아 국가의 역내 무역비중은 50%를 넘어서지만 역내 채권투자 비중은 13% 수준이다.
이 총재는 아시아 국가 간 금융통합을 진전시키기 위해 “무엇보다 일부 국가의 금융불안이 역내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확산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미시·거시 건전성 정책 등 금융부문의 복원력을 높이는 정책체계를 마련하고,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규제체계를 확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양자간·다자간 역내 금융안전망 강화를 강조하면서 “한국이 중국, 인도네시아, 호주 등과 통화 스와프를 체결한 것도 이런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아시아의 역내 금융통합은 성장잠재력 강화뿐만 아니라 경제 복원력을 높이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면서 투자재원을 더 쉽게 조달하고, 국가 간 리스크를 분담할 수 있다는 점을 금융통합의 장점으로 꼽았다.
그러나 이 총재는 금융통합이 불러올 수 있는 잠재 위험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면서 “금융통합의 정도가 높아지면 통화정책 수행이 제약되고 부정적 외부 충격이 더욱 빠르게 전이되는 등 적잖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