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강철 생산량 ‘우울한 세계 5위’

한국 강철 생산량 ‘우울한 세계 5위’

입력 2015-01-25 23:52
업데이트 2015-01-26 04: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7103만t 규모… 러 제쳐

지난해 한국 철강업계의 조강 생산량(강철 생산량)이 7103만t을 기록하며 러시아를 밀어내고 5위로 올라섰 다.

25일 세계철강협회(WSA)가 집계한 2014년 세계 조강생산 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철강업체들의 조강 생산량은 16억 6200만t으로 2013년보다 1.2% 증가했다. 국가별 순위는 중국(8억 2270만t), 일본(1억 1070만t), 미국(8830만t), 인도(8320만t), 한국(7103만t) 순이었다. 한국은 2013년 러시아에 이어 6위를 차지했으나 지난해 러시아를 누르고 5위로 집계됐다.

국가별 생산량 증가율은 중국이 전년 대비 0.9%, 일본은 0.1%, 미국은 1.7%, 인도는 2.3% 등에 그친 데 반해 한국은 7.5%에 달했다. 한국의 생산량 증가율은 생산량 1000만t을 넘는 세계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으로 공급 과잉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 세계 조강 생산량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율도 2012년 4.4%에서 2013년 4.0%로 낮아졌다가 지난해 4.3%로 다시 반등했다. 지난해 중국의 점유율은 49.5%로 절반에 육박했고 일본 6.7%, 미국 5.3%, 인도 5.0% 등이었다.

전 세계 각국 철강업체들의 월간 설비 가동률은 경기 부진과 철강업계 공급 과잉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12월 72.7%를 기록해 1년 전인 2013년 12월(75.1%)보다 2.4% 포인트 떨어지면서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또 전 세계 철강업체들의 지난해 평균 설비 가동률도 76.7%로 2013년 78.4%보다 1.7% 포인트 하락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5-01-26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