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현대 등 소수 대기업, 제조업 ‘일자리 창출’ 주도

삼성·현대 등 소수 대기업, 제조업 ‘일자리 창출’ 주도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15-11-30 23:12
업데이트 2015-12-01 0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용부, 채용 100대 기업 발표

제조업 분야 대기업이 국내 일자리 창출에 상대적으로 많이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일자리의 질이 보장되지 않는 간접고용이 증가하고 청년층 채용 비중은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근로자 10인 이상 기업 10만 2705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고용성장지수를 30일 발표했다. 고용성장지수는 개별기업 간 일자리 창출 비교를 위한 것으로, 고용증가 인원과 고용증가율 등을 바탕으로 산출된다. 간접고용이나 근로조건 등 고용의 질은 포함하지 않아 양적 측정만 이뤄진다.

고용부에 따르면 2013~14년 고용성장지수 1위는 전기·수도 검침사업을 하고 있는 신일종합시스템이 차지했다. 이어 삼성코닝어드밴스드글라스, 콜롬보코리아, 대주중공업, 삼성전자, CJ올리브네트웍스, 젠스타서비스스포죤, 양산패션, 삼성SDI, 현대엔지니어링 등이 이름을 올렸다.

상위 100대 기업을 산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각각 28%로 고용창출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도·소매업은 9%, 숙박·음식점업은 8%로 집계됐다. 규모별로는 중소기업(300인 미만)과 대기업(300인 이상)의 비중이 각각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업들이 고용을 늘리면서 2013~14년 조사 대상 기업의 근로자 수는 모두 38만 3000명 정도 늘었다. 증가한 근로자는 대부분 중장년층(57.6%)이거나 고령층(24.6%)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고용을 늘리면서 채용된 청년층(29세 이하)은 전체의 17.8%에 그쳤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5-12-01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