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를 해도 홀벌이보다 저축을 많이 하는 건 아니라는 분석이 나왔다.
국민연금연구원 성혜영·이은영 연구원은 10일 ‘생애주기별 소비 및 저축실태 분석에 따른 노후준비 전략’이란 연구보고서에서 이처럼 밝혔다. 연구진은 2014년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해 자녀가 있는 부부 가구를 맞벌이와 홑벌이로 구분해 소득 분위별로 저축실태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중간소득 수준인 소득 3분위에서도 전체 생애를 통틀어 총저축액과 저축비율에서 홑벌이가 맞벌이보다 높거나 차이가 없었다.
소득 중상위 계층(소득 4분위)에서도 생애주기 전체에 걸쳐 맞벌이와 홑벌이 두 집단 간에 총저축액과 저축비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최상위 소득계층인 소득 5분위(소득 상위 20%) 역시 생애주기별 총저축액이 자녀 학령 후기(가구주 나이 40~52세, 첫 자녀 나이 13~19세)에 맞벌이가 홑벌이보다 많았을 뿐, 저축비율은 맞벌이와 홑벌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소득 하위 계층인 소득 1,2분위에서 총저축액은 생애주기별로 봤을 때 특히 자녀 성인기(가구주 나이 46~62세, 첫 자녀 나이 20~34세)에서 홑벌이가 오히려 맞벌이보다 많았다. 소득대비 저축비율은 맞벌이와 홑벌이 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국민연금연구원 성혜영·이은영 연구원은 10일 ‘생애주기별 소비 및 저축실태 분석에 따른 노후준비 전략’이란 연구보고서에서 이처럼 밝혔다. 연구진은 2014년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해 자녀가 있는 부부 가구를 맞벌이와 홑벌이로 구분해 소득 분위별로 저축실태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중간소득 수준인 소득 3분위에서도 전체 생애를 통틀어 총저축액과 저축비율에서 홑벌이가 맞벌이보다 높거나 차이가 없었다.
소득 중상위 계층(소득 4분위)에서도 생애주기 전체에 걸쳐 맞벌이와 홑벌이 두 집단 간에 총저축액과 저축비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맞벌이 저축 비율, 홑벌이와 비슷
소득 하위 계층인 소득 1,2분위에서 총저축액은 생애주기별로 봤을 때 특히 자녀 성인기(가구주 나이 46~62세, 첫 자녀 나이 20~34세)에서 홑벌이가 오히려 맞벌이보다 많았다. 소득대비 저축비율은 맞벌이와 홑벌이 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