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수돗물값은 생수가격의 682분의 1 수준, 가구당 월평균 상수도요금은 통신요금의 9분의 1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토교통부는 138개 수자원 통계를 담은 ‘통계로 보는 한국의 수자원’을 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통계집에 따르면 2014년 현재 전국 평균 상수도요금은 1톤당 666.9원이다. 수돗물과 비교해 생수(1톤당 45만 5000원)는 682배, 콜라(1톤당 172만원)는 2579배, 우유(1톤당 252만원)는 3779배 비쌌다.
가구당 월평균 상수도요금은 1만 3264원을 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른 공공요금과 비교해 통신요금(월평균 12만 4741원)은 9.5배, 대중교통비(월평균 5만 9363원)는 4.5배, 가스(월평균 4만 6187원)나 전기(월평균 4만 6086원)요금은 각각 3.5배 많았다.
주요 국가(19개국)의 톤당 평균 상수도요금은 1.43달러, 우리나라 상수도요금은 0.63달러로 조사대상 19개국 중 4번째로 낮았다. 소득대비 수도요금도 주요 19개국 평균은 0.059달러, 한국은 0.023달러로 가장 저렴했다.
국내 물산업 규모는 약 45조원(국내총생산의 3%수준)이며, 제조업이 약 15조 5243억원으로 전체의 34.7%를 차지했다. 물 관련 분야의 해외 신규 수주건수는 31건, 금액은 11억 8126만 8000달러로 나타났다.
최근 10년(2005~2014)간 물과 관련한 자연재해 피해액은 약 6조 9000억원이며, 강원도가 약 1조 9300억원으로 가장 컸다. 급수보급률은 96.1%이고 마을상수도, 소규모 급수시설까지 더하면 급수보급률은 98.6%이다. 연간 생활용수·공업용수·농업용수로 이용되는 물은 238톤이다.
친수시설, 수변관광, 레저활동 인구를 가늠해볼 수 있는 강문화관 연간 방문자는 243만명이고, 전국 693개 문화축제 중 하천공간을 이용한 문화축제가 26%를 차지했다. 수상스포츠 클럽은 521개, 회원은 2만 4032명이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통계집에 따르면 2014년 현재 전국 평균 상수도요금은 1톤당 666.9원이다. 수돗물과 비교해 생수(1톤당 45만 5000원)는 682배, 콜라(1톤당 172만원)는 2579배, 우유(1톤당 252만원)는 3779배 비쌌다.
가구당 월평균 상수도요금은 1만 3264원을 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른 공공요금과 비교해 통신요금(월평균 12만 4741원)은 9.5배, 대중교통비(월평균 5만 9363원)는 4.5배, 가스(월평균 4만 6187원)나 전기(월평균 4만 6086원)요금은 각각 3.5배 많았다.
주요 국가(19개국)의 톤당 평균 상수도요금은 1.43달러, 우리나라 상수도요금은 0.63달러로 조사대상 19개국 중 4번째로 낮았다. 소득대비 수도요금도 주요 19개국 평균은 0.059달러, 한국은 0.023달러로 가장 저렴했다.
국내 물산업 규모는 약 45조원(국내총생산의 3%수준)이며, 제조업이 약 15조 5243억원으로 전체의 34.7%를 차지했다. 물 관련 분야의 해외 신규 수주건수는 31건, 금액은 11억 8126만 8000달러로 나타났다.
최근 10년(2005~2014)간 물과 관련한 자연재해 피해액은 약 6조 9000억원이며, 강원도가 약 1조 9300억원으로 가장 컸다. 급수보급률은 96.1%이고 마을상수도, 소규모 급수시설까지 더하면 급수보급률은 98.6%이다. 연간 생활용수·공업용수·농업용수로 이용되는 물은 238톤이다.
친수시설, 수변관광, 레저활동 인구를 가늠해볼 수 있는 강문화관 연간 방문자는 243만명이고, 전국 693개 문화축제 중 하천공간을 이용한 문화축제가 26%를 차지했다. 수상스포츠 클럽은 521개, 회원은 2만 4032명이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